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
한재훈 지음 / 갈라파고스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서당'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수염이 길게 난 훈장이 앉아 있고, 그의 앞에는 여러 어린 학생들이 앉아서, 열심히 책을 외우며 공부를 하고 있는 이미지가 떠오를 것 이다. 그와 함께 드는 생각은, 무척이나 고리타분하고, 전혀 효율적이지도 않고, 스승과 제자가 철저하게 단절 되어 있어 서로 소통의 부재가 있는, 우리의 옛 교육방식이긴 하지만 지금은 조금도 남아 있지 않는, '온고지신'의 정신의 예외로서 완전히 버리고 만 교육방식이라는 것 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현대 교육방식이 아닌, 전통 교육방식인 서당에서 몇년 간 공부를 했던 저자가 '서당'에 대해서 하나 하나 조목조목이 설명을 해 준다. 물론 저자가 공부하던 '서당' 역시, 옛날의 서당 모습 그대로를 반영하고 있지 않았고, 결국은 '현대'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간신히 현대화의 물결을 거부하며 버티고는 있지만, 알게 모르게 현대화의 물결에 오염되고 있는 서당이었기에, 완전한 서당의 모습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듯 하다. 그럼에도 서당공부는 우리 선조들이 옛날부터 해 오던 전통적인 교육방식이고, 그 옛날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추구하는 바와 그 목적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만큼, '현대의 서당'에 대한 통찰은 무척이나 값어치가 있고, 소중하지 않나 싶다.

돌이켜보면, 우리의 '서당공부' 문화는 오랜 시간동안 우리 선조들의 교육방식으로 채택되었던 것에 비해, 너무나도 일찍 사라졌다. 물론 세계화, 현대화의 물결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없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온고지신'의 태도를 조금도 지니지 않았다는 점이, 무척이나 아쉽게 느껴진다. 현대의 교육과 비교했을 때, 분명 서당공부는 고리타분하고, 비효율적이고, 현대사회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그 정신이 가치 없는 것도 아니고, 서당 공부의 많은 요소들이 전부 우리에게 필요 없는 것도 아니다. 책을 조금만 들여다 보더라도, 꼴지가 없는 평가를 하고, 제자들이 제각각 다른 교재들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학문을 하는 진짜 목적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것 이다.

'인문학'의 뜻은, 인간을 위한 학문이라는 말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들의 교육을 돌이켜보았을 때, 우리는 과연 단 한순간이라도 '인간'을 위한 학문을 한 적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 한다. 모두 자본을 위한, 자본가를 위한 학문을 공부하게 되었고, 그렇지 않은 학문들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인문학은 특별한 학문이 아닌, 말그대로 인간이 그 스스로를 위해 추구해 나가던, 지극히나 자연스럽고, 근래 100~200년을 제외하곤 모든 학문은 인간을 위했다. 특히 서당 공부는, 옛날의 철학가 ,사상가, 정치가들의 좋은 말씀들을 통해 스스로를 갈고 닦고, 거기서 더 나아가 사람들을 갈고 닦는데 보탬이 되기 위한 진정한 '인문학' 이었다. 즉, 서당이 완전하 사라지는 순간, 우리에게 진정한 인문학이 사라지는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