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당거미의 이치 - 상 ㅣ 백귀야행(교고쿠도) 시리즈
교고쿠 나츠히코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14년 8월
평점 :
교고쿠 나츠히코는 추젠지의 입을 빌려 요바이를 공동체의 강제적 성 관리제도나 혼인을 전제로 한 의식이 아니라 자유연애의 범주로 봐야한다고 하며, 특히 화폐경제가 발달한 도시에서는 성의 상품화로 유곽이 등장했지만 모계의 전통이 남아있는 마을 사회에서는 '여성의 이치'에 따른 재생산의 기제로서 요바이가 통용되었다고 말한다. 그것이 메이지 시기 이후 마을 사회에 화폐경제가 침투하면서 이른바 '매춘'으로 바뀌어버렸고, 요바이의 대상이 되는 여성은 인간적 존엄성을 파괴당했다는 것.
이를 일본 신화의 모계 의식과 연결시키면서 특유의 장광설을 풀어내는데 아무튼 흥미로운 부분이다. 관련한 책을 좀 찾아봐야겠음. 한국에서도 유사한 공동체의 전례가 있을까...
이 책을 통해서 일본 정부가 전쟁 패배 직후 G.H.Q 시절 R.A.A 라는 이름의 미 주둔군 대상 국영 성매매 업소를 운영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미 주둔군에 의해 일본의 부녀자들이 성범죄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 여성들의 순결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예방적 조치로서 기존의 성매매 여성을 동원한 국영 위안소를 설치' 한다는 이유였던 모양인데, 그 개념부터가 끔찍하지만 실제 운영에서 전후의 어려운 시기에 여성들이 생존을 위해 R.A.A에 취직하였고, 미 주둔군이 위생 지침을 따르지 않아 성병이 만연하는 등의 일들이 벌어지면서 폐업하게 된듯. 이러한 R.A.A로 인해 성매매 종사자가 급증하고, 폐업 이후에도 민간 성매매 업소들이 확대되는 부작용이 초래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