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 : 운동 - 달에 망치를 가져간 까닭은?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지음 , 김인하 외 그림, 강남화 감수, 이우일 캐릭터 / 사회평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선생 만화 한국사에 이어 우리 집 아이들의 재미를 담당하고 있는 시리즈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권 <운동>편을 만났습니다.

용선생과 친구들이 함께 하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려운 과학 이야기도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는 재밌는 책입니다.

이번 14권 <운동> 편은 부제목이 "달에 망치를 가져간 까닭은?"이라고 적혀 있어서 아이들이 호기심 폭발했습니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 운동]은 모두 6교시로 이루어져 있어요.

1교시 위치와 운동

2교시 속력

3교시 관성

4교시 힘과 운동

5교시 속력의 변화

6교시 원운동

한 권을 읽고 나면 초등학교 5학년 과학뿐 아니라, 중학교 과학 내용까지 다 만나게 됩니다.

예비중 큰아이에게 매우 유익한 내용들이었어요.

5학년 교과 연계 내용들은 아이에게 복습이 되고, 중학교 교과연계 내용들은 중학교 과학이 이런 거구나 하고 맛볼 수 있는 시간들이었거든요.

초등 아이들의 눈높이로 쉽게 풀어 설명해 주고 있어서인지, 아이가 재밌게 읽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 읽었을 때는 생소한 내용들도 있어서인지, 책상에 앉아 집중해서 읽더니,

그 후에는 정말 재미 삼아 한 번씩 꺼내 읽더라고요.

덩달아 초등 3학년 동생도 언니 따라 한다고 자주 읽어요.

동생은 이해를 하고 읽는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ㅎㅎ

초등 6학년 아이는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은 개념을 쉬운 말로 풀어 설명해 주어서 제일 마음에 들고!

관련된 실제 사진과 재밌는 4컷 만화가 함께 해서 좋대요.

학교에서 과학 시간에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로 관련 예습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하네요.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을 영상으로도 만나볼 수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는 얘기도 하더라고요.

아이 말을 듣고 보니, 과학은 아무래도 실제 장면이나 실험 등을 영상으로 직접 보면 더욱 기억도 잘 남고, 이해도 잘 되니까,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관련 학습 영상도 만들어지면 아이들에게 인기가 정말 많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아이가 가장 재밌게 읽은 단원은 4교시 힘과 운동이었었어요.

동계 올림픽을 통해 익히 알고 있던 스포츠 쇼트트랙 이야기를 통해 내용이 전개되어서 훨씬 잘 읽혔대요.

이 단원을 읽으면서 스포츠도 과학이라는 걸 새삼 느꼈다면서.

우리의 삶 속에 과학이 알게 모르게 함께 하고 있는 것 같다네요.

"그래서 과학이 재밌는 거야~ "라고 답해주었습니다 ㅎㅎ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 운동]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달에 망치를 가져간 까닭" 이었는데요.

그 이유가 5교시에 등장하더라고요.

아이들이 답을 찾았다며 저에게 알려주었습니다.

달에는 공기 저항이 없어서 물체의 질량에 상관없이 모든 물체는 동시에 떨어진다고 약 430년 전에 갈릴레이가 처음 주장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1971년 미국의 우주비행사가 실험으로 증명하겠다며 알루미늄 망치와 깃털을 달표면으로부터 약 1.6m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실험을 했다네요. 물론 동시에 떨어졌고요!

큰아이 왈

"그 옛날 갈릴레이라는 사람은 직접 달에 가본 것도 아닌데, 달에서 모든 물체가 동시에 떨어진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대?"

작은 아이 왈

"이상한 사람이야~"

갈릴레이 님 죄송합니다.

 

어쨌든,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4. 운동]은 학습만화가 아닌 줄글로 이루어진 책인데, 학습만화 같은 느낌이 들어서 아이들이 매우 친근하게 접근하는 과학 이야기책입니다.

그리고 2020년 최신 교과서를 반영하고 있으니 엄마 입장에서는 재미와 학습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어 아이들이 읽을 때마다 흐뭇해지는 책이에요.

기나긴 집콕.

초등 필독서로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