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에 서툰, 당신에게
켈리 G. 윌슨.트로이 듀프레인 지음, 임현경 옮김 / 슬로디미디어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살아가면서 불안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람마다 크고 작은 사건, 사고 안에서, 또는 특별한 일이 없다 하더라도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나와 같이 다른 사람들보다 좀 더 불안감을 잘 느끼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별다른 일이 없는 상황에선 '왜 아무런 일이 없지?'라고 생각하며 또 다른 불안감을 느낄지도 모른다.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계기도 나의 이런 성격상의 민감함에 의한 것이며, 하필 때맞춰 큰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책은 ACT(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수용전념치료)에 바탕을 둔 것으로, 6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섯 가지 영역이란 현재에 존재하기, 인지적 탈융합, 수용, 가치, 전념행동, 맥락으로서의 자기를 말한다. 각 장에서는 해당 영역에 대한 설명과 게임이 나와 있어 이 치료법을 익히며 방법을 간단하게 터득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게임만으로는 이 치료법을 완전하게 익히기는 힘들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것은 과거나 미래에 얽매어 있지 말고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라는 것, 어차피 세상을 살아가면서 고통이나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일 앞에 놓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으니 그것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라는 것,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내가 생각지 못한  다른 것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것 등이다. 사실 어려움이 나에게 닥칠 때 그것을 온전하게 분별하기는 힘들다. 지금 이 순간에도 나는 끊임없는 갈등 속에 있으며 선택을 강요당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도망가고 싶을 때 그래서는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 미래에 대한 망상도 접어야 한다는 것을 되새겨야 했다. 불안이 내 인생을 좌우해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결국 현실을 받아들여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인류가 원시시대에 수많은 맹수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불안감이었다. 불안은 조금 더 신중한 태도를 취할 수 있게 해 주었고, 조심성 많은 조상 덕에 우리가 이제까지 생존할 수 있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 그 불안감을 어떻게 다루고, 어떤 방식으로 쓸 것인가는 여전히 지금 그 감정과 공존하는 우리의 몫일 것이다. 어쨌든 힘들어도 받아들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