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 -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
프란스 드 발 지음, 최재천.안재하 옮김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he age of EMPATHY.
탐욕의 시대가 가고 공감의 시대가 왔다.


진짜 그러한가?
우리가 바라는 삶의 모습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으면 학자들은 도대체 왜, 무엇 때문에 이렇게 되고 있는지 그 원인을 밝히려 한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탐욕에 눈이 먼 본성을 타고났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는 인간으로 진화를 했는가?
동물행동학자 프란스 드 발이 '공감'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동물들의 모습을 인간에게 보여준다.
인간만이 다른 이의 상처에 아파한다면서 가진 영장류의 자부심은 이제 다른 동물들의 모습 앞에서 조용히 꼬리를 내려야 한다. 아니 오히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은 인간이 동물보다 못한 공감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영화 혹성탈출에서 유인원의 리더인 시저가 보여주는 공감의 리더십은 영화 속 이야기만은 아닌 것이다. 

안타까운 사건들이 끊이지 않지만, 책을 읽는 동안 일어난 몇 가지 사건들은 인간의 퇴화의 길로 접어든 것은 아닐까 의심 들게 한다. 

한 가족의 가장인 버스기사에 대한 무자비한 인터넷 테러.
사실 확인은 두 번째이고 인터넷 매체들은 일면에 올리기에 바빴다. 그들이 단 한 번이라도 그 기사 내용으로 받게 될 가족의 아픔에 대해서 공감할 수 있었다면 사실 확인을 먼저 하는 절차를 거쳤을 것이다. 나도 처음에 그 기사를 접하고 나서 얼마나 많은 욕을 해댔는지... 
살인을 저지른 이들 혹은 사이코패스의 공통점 중의 하나가 공감능력의 절대 부족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그렇게 보면 지금 다수의 사람은 사이코패스로 진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 

순전히 이기적인 동기와 시장의 힘으로만 형성된 사회는 부를 생산해낼 수는 있어도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단합이나 상호 신뢰를 이끌어내진 못한다 이것이 가장 행복도가 높게 측정되는  곳은 가장 부유한 국가가 아닌 시민들 간에 신뢰도가 가장 높은 나라에서 나오는 이유이다. 

드 발이 만약 인간의 조건 하나를 바꿀 수 있다면 왜 인간의 유대감의 범위를 넓히고 공감의 범위를 넓히려고 했는지 충분히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생존 경쟁이 자연의 본질이라는 패러다임이 오랜 시간 동안 사회를 지배해왔다. 지금도 이 패러다임은 남아서 끊임없는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

왜 자연 선택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사람과 장단을 맞추어 다른 사람이 괴로워하면 괴로움을 느끼고 다른 사람이 기뻐하면 기쁨을 느끼도록 인간의 뇌를 디자인했을까?

우리의 뇌는 디자인대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공감은 1억 년 이상으로 오래된 뇌 영역과 관련  있다. 이 능력은 오래전 근육성 운동 따라 하기 및 감정 전이와 함께 발생했고, 그 후 층층이 쌓이는 진화적 과정을 거쳐 결국 타인이 느끼는 바를 느낄 분 아니라 타인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바를 이해하는 조상을 낳게 되었다. 


소통은, 공감은 운동 근육과 같아서 배우기만 하고 갈고닦지 않으면 절대 탄탄해지지 않는다. 
이제  무뎌져 있는 공감능력을 끌어 내자.
그것이 개인이 사회에 끼칠 수 있는 아름다운 공헌이 될 수 있는 길이기에. 
내가 달라지면 관계가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