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도토리는 없다 - 도서관 소설집 꿈꾸는돌 33
최상희 외 지음 / 돌베개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이라는 제재를 갖고 일곱 명의 작가가 단편을 썼다. 클럽보다 카페, 카페보다 서점, 서점보다 도서관을 좋아하는 나는 도저히 지나칠 수 없는 방앗간이었다. 요새 이런저런 핑계로 책과 도서관을 멀리했는데 "마음 둘 곳 없으면 도서관에라도 와. 네 편이 되어 줄 많은 이야기들이 있어."라는 초대가 달고 반가웠다. 허나 당장 내가 사랑했던 도서관에 달려갈 수는 없는 노릇이니 이 도서관 앤솔러지를 읽는 걸로 만족하기로 했다.


청소년문학과 성인문학을 구분 짓는 건 여전히 내겐 낯설고 어쩐지 부당하게 느껴지지만, 따지자면 이 책은 청소년문학으로 분류될 것 같다. 청소년문학으로 이름을 알린 작가들의 글이기도 하고, 대개 청소년 화자가 등장해 서사를 끌어가는 식이기 때문이다. 청소년 화자가 등장하는 만큼 성장과 변화가 주요하게 드러나기도 한다. 그러나 나는 청소년 소설이 몇 개의 단어로 압착되지 않았으면 한다. 청소년 화자와 독자 모두에게 성장과 변화가 매우 중요한 토픽이고 인간 발달 시기상 성장의 시기와 성숙의 시기는 다른 것이 '팩트'라 해도, 존재는 끝없이 성장하고 변화하며 따라서 비청소년(?)에게도 그러한 메시지를 담은 서사는 여전히 긴요하다고 나는 주장한다. 여하튼 그래서 부러 이 책과 작가들에 대한 정보를 대충 흘리고 이야기를 읽었다. 내게 이 책은 그저 흥미로운 '도서관 앤솔러지'였다. 완독자로서 권하건대 다른 분들도 그렇게 이 책을 읽어보시면 좋겠다. 청소년문학이 아니라 책과 도서관을 좋아하고 그 의미를 높이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 모음집으로서.


다 다른 의미로 맘에 와닿아서 어떤 단어 문장 소설이 맘에 닿았는지 정리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걸 궁금해할 미래의 나를 위해 짤막하게 남긴다. 「우리가 아주 예뻤을 때(김려령)」를 읽으며 설렘과 귀여움에 들떴고 「황혜홀혜(김해원)」를 읽으며 내가 사라진 것을 잘 애도해 보냈는지 돌아봤으며, 「덜컹거리는 존재(신현이)」의 소심하고 섬세한 화자에게 많이 공감했고 「책내기(이희영)』를 읽고 나서 '책을 닮은 사람이 되고 싶다' '나도 책지기가 되고 싶다.'는 꿈을 품었다. 「유령이 머무는 숲(허진희)」을 읽으며 두 번 울었다. 크나큰 위로를 받았다. 사실 모든 이야기가 그랬다. 일곱 편의 이야기로부터 받은 공감과 위로, 책과 도서관을 사랑했고 사랑하는 나 자신과의 연결감이 아늑하고 편안했다.


본문도 좋았는데 이 책은 작가의 말이 진또배기다. 밑줄을 긋는 걸로도 모자라 네 장의 귀퉁이를 접었는데 그중 세 장이 작가의 말이었다. 본문 대신 그 일부를 공유한다.


"겉으로는 영 차이 나 보일지라도 함께할 때 꽉 찬 느낌을 받는다면, 그것이 곧 황금 비율이 아닐까 싶습니다. (...) 내 인연의 비율은 겪으면서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그러니 우정이든, 사랑이든, 보이는 차이만으로 미리 피하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신기한 일이었습니다. 책을 읽고 있을 뿐이었는데, 전쟁은 끝이 나고 세상에 평온이 찾아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렇듯 지난한 날들의 반복이 모여, 비로소 한 권의 책이 완성되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인간의 삶이란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매우 흡사하다. 어쩌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수많은 책이 꽂혀 있는 거대한 도서관이 아닐까. 그 책 한 권 한 권에 슬픔보다 기쁨이, 아픔보다 평화가 기록되었으면 정말 좋겠다."


책과 도서관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이 책은 충분히 재밌을 거다. 말했듯 도서관은 제재일 뿐 이 책의 단편들이 "책/도서관 아묻따 최고~ 사람은 자고로 책을 읽어야~"라는 고리타분하고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건 아니니까. 그러나 책과 도서관으로 도망쳐본 적 있는 사람, 도서관에서의 잊지 못할 추억이 있는 사람, 도서관에 가야만 느낄 수 있는 감각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 책은 특별할 것이다. 그런 사람에게 이 책을 확신에 가득 차 권하고 싶다.



※ 본 포스팅은 컬처블룸으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썼으나

가감 없는 개인적 경험 및 감상만을 담았음을 밝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