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우선주의 - 하버드가 인정한 신 경영 전략
비니트 나야르 지음, 박선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인도인들에 알고 싶은 것이 많다. 그 중에서도 좀 특이하면서도 인간적인 사상에 관심이 많다. 이 책을 통해서 관심은 더욱 커졌다.

우리가 그 동안 전통적으로 접해 왔던 리더십에 관한 책이나 자기계발 도서는 직원 우선주의와 같은 획기적이면서도 조용하며, 여유가 느껴진다. 책을 읽는 내내 다급하거나, 긴장된 분위기는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책에는 어마어마한 성과와 조직의 변화가 들어 있다.

우리는 아직까지도 고객을 위한 일, 고객만족을 위한 일을 최우선 목표로 진행 해 왔다.

그리고 조직과 사회를 변화 시키려면 먼저 내가 변한 후에 주변을 변화 시켜야 한다고 교육 받았고, 그렇게 행동하고 있다. 하지만 HCLT CEO 비니트나야르는 순서와 기본적인 사고가 다르다.

조금 생소한 직원 우선주의는 먼저 변화의 필요성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거울에 비춰보기로 시작한다. 변화에 대한 인식 없이는 아무것도 변화 시킬 수 없다. 많은 직원들과 고객과 대화를 통해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한다. 두 번째로 변화 문화를 창조하기 위한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이다. 요즘 우리나라 사업가들이나 정치인들은 이 책을 꼭 읽어야 할 것 같다. 확신,친밀감,자기지향성,신빙성의 순서로 변화하여 직원 우선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성은 신뢰를 만들어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네덜란드 도시의 한 복판에 있는 비니트나야르의 친구 집은 창문이 유난히 크다. 아울러 항상 깨끗하게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창문이 크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가 아주 잘 보여 항상 깨끗하게 유지 해야 한다는 친구의 말에 , 조직운영에 그 사고를 적용 한다. 세 번째 변화 할 수 있는 조직구조를 만들기 위한 조직피라미드 뒤집기. 우리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읽어 왔던 내용과는 많이 다른 부분이다. 내 전문분야만 하면 진정한 프로가 된다는 일반적인 우리 사고와는 조금 다르다. 다른 부서나 지원업무도 내가 책임을 질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하면 결과적으로 조직은 역피라미드가 된다. 마지막으로 변화에 대한 책임을 이양하기 위한 CEO의 역할 재정립하기이다. 역시 일반적으로 Detail하게 관리하고 피드백 해 주는 우리가 배운 내용과 많이 다른 부분이다. 기업의 전략 수립에 전 직원이 참여하고 CEO는 그 의견을 존중하며 , 불필요한 관료주위적인 관리자 중심의 시스템을 역으로 전화하여 업무의 속도와 성과를 몇 배로 증가 시켰다.

대한민국의 대부분 기업들이 전통적인 관료적 조직구조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신뢰 구축이 조직간, 구성원 서로간에 아직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관점에서 이 책은 좋은 지침서 될 것이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