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 - 수십억 유산보다 더 가치 있는 엄마표 금융 교육을 시작하라!
박정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

한스미디어 박정현

 

 

부모는 자녀들이 나중에 잘살기를 바라며 온갖 뒷바라지를 하지만,

정작 이에 필요한 돈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는다.

보통 사람들에게 공부는 밥벌이 수단이다.

열심히 공부해도 돈을 벌지 못한다고 한다면,

아마 대부분은 그 자리에서 연필을 놓고 다른길로 나아가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잘 먹고 잘살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것은?

바로 돈이다.

 

13세. 초등6학년.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단계.

자기를 둘러싼 울타리 너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소셜미디어에 첫발을 내딛는 시기.

소셜미디어 활동은 곧 자본주의로 점철된 각종 광고 매체와의 만남을 의미힌다.

세상에 발을 내디뎠을 때,

돈과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나가는 것과 무방비 상태로 나가는 것은 다르다.

 

 

크면 저절로 알게 되겠지. 나도 잘 몰라서..애들한테 돈 이야기는 부적절하다고 생객해서...

여러가지 이유로 가정에서, 그리고 학교에서는 돈에 대해 가르치지 않는다.

 

가정 형편은 개인의 자기 효능감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자기효능감은 삶의 연료이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실천에 옮긴다.

성장기의 경제적 결핍은 성취에 대한 진취적 욕구를 떨어뜨린다.

그렇다고 빚내어 가며 남들처럼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것처럼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돈은 삶의 뿌리가 되는 자기 효능감과 맞닿아 있다.

금육교육을 통해 아이의 자기 효능감을 높여줄 수 있다.

 

작은 문제일 때 감당하는 연습을 해보지 않으면

큰 문제는 더욱 감당하기 힘들다.

가장 좋은 금융교육 실천방법으로는 세뱃돈 관리하기이다.

 

'금융문맹'은 자본주의 사회에 필수적인 돈을 이해하거나 관리할 줄 모름,

또는 그런 사람으로 정의된다.

저축, 소비 관리, 빌리기, 소득 다양화로 대표되는

금융의 네 가지 원칙을 삶에 적용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다음은 OECD에서 금융 이해력을 측정하려고 준비한 시험 문제 중 일부다.

 

 

정답은 3번이지만,

사실 정답은 없다.

정답은 '0원'이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 10% 연복리 이자를 보장하는 곳이 어디에 있겠는가?

만약 누군가 10% 이자를 보장한다면 당신의 돈을 훔쳐가려는 사기꾼이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경제는 각종 이론과 법칙, 각종 수식이 가득하지만,

자라나는 아이들이 앞으로 마주할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경제 교육은 많이 부족하다.

 

 

 

 

경제학을 여덟 단어로 표현하면???

(1938.6.27 엘 파소 해럴드 포스트)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금융 경험은 준비 운동이자 안전 장비이다.

아는 것이 적으면 적을수록 전문가에게 더 큰 권위를 부여하게 되고

근본없이 휘둘릴 가능성이 크다.

 

워런 버핏은 '조기 경제 교육이 평생의 부를 결정한다'고 했다.

어린 시절 부모가 심어주는 금융 경험이야 말로

바다에서 붙잡고 있어야 할 부표이자

앞으로 헤엄쳐 나아가야 할 곳을 알려주는 등대이다.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삶의 모습은 보통 네 단계로 압축된다.

1. 대학 졸업장 얻기

2. 알아주는 회사에 취직하기

3. 직장 생활에 온 힘을 쏟으며 승진하기.

4. 월급 알들살뜰 저축하고 불려 내 집 마련하고 노후 대비하기.

 

하지만, 요즘은 4단계 루트가 무너지고 있다.

아니 이미 2단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평균에서 벗어나 개별적 삶을 추구하는 방법은 금육교육에 있다.

미래 삶에 필요한 돈을 제 힘으로 꾸려가는 능력을 기르는 금융교육.

단지 목표액수 서정의 재테크 교육이 아닌

'미래 모습 설정'을 통해 다양성과 독자성의 길로

접어들게 해야한다.

 

 

 

 

돈에 밝은 아이가 되게 할 것인가, 돈 밝히는 아이가 되게 할 것인가.

1차원적인 돈 이야기는 돈만 밝히는 아이로 자라게 할 뿐이다.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에서 돈과 세상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학생들이 초등 고학년 정도 되었을 때부터 주식교육을 한다.

자본주의 관점에서 이 세상은 자본가와 노동자 두 집안이 존재한다.

자본가는 시간을 버는 생산 수단을 가진자, 노동자는 시간을 쓰는 자이다.

간접적인 자본가로 살아가는 방법은 투자이다.

주식으로 사업체에 투자하든 부동산투자신탁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든

원하는 방식으로 간접 자본가가 될 수 있다.

오늘날은 모두에게 투자의 기회가 열려있다.

노동자인 동시에 자본가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책에는 금융 DNA를 깨우는 실전 대화법이 소개되어 있다.

 

1. 명품에 유혹되는 아이들.

부자처럼 보이기 위해 스스로 가난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올라가는 것을 살 것인가,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살 것인가.

명품을 이용해 부를 쌓는 소비와

가난을 쌓는 소비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2.때인 돈 받아드립니다.

돈 빌리고 갚지 않는 친구의 사례를 통해

신용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3.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영화 티겟값이 너무 올랐다.

물가상승. 이익창출.

시점을 바꾸어 생산자 관점에서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4. 마스크는 왜 하루아침에 비싸졌을까?

마스크 가격을 통해 정부의 개입, 개인의 권리

등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5. 부자의 진정한 의미

베스트셀러 <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를 통해

부자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과수원 기르기 5단계, 하이브리드 인재 키우기 등

어렵지 않게 활용하고 이야기 해 볼 수 있는

금융 교육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금융교육, 복잡한 이론이나 규칙, 수식은

학교에서도 충분히 배울 수 있다.

우리 실생활에서 늘 접할 수 있는 친근한 주제로

아이의 금융 DNA를 깨우는 것은

엄마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