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이, 나 좀 봐 ㅣ 비룡소 그래픽노블
재럿 J. 크로소치카 지음, 양혜진 옮김 / 비룡소 / 2021년 6월
평점 :
절판
헤이, 나 좀 봐

요즘 그래픽 노블을 많이 읽게 되요
만화지만 글밥이 제법 많은 소설.
그림이 있어서 내용을 이해하기도
좀 더 쉽고 그림을 보는 재미도 있죠
이번에 읽은 <헤이, 나 좀 봐>는
진솔한 성장 이야기라고 할 수 있어요
전에도 작가의 성장 이야기를 담은
그래픽 노블 몇 편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 책은 두께부터 심상치 않았어요
뭔가 험난한 인생사를 담고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는 토리보다도 두꺼운 책에
부담을 느끼는 편이지만,
이 책은 그래픽 노블이기에
부담감이 느껴지진 않았어요

어렸을 때 조부모와 함께 살게 된 재럿.
그는 이 책의 주인공이자 작가에요
어려서는 아무도 그가 엄마와 살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았어요
좀 크고서야 그의 엄마가 헤로인 중독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가끔씩 엄마를 만나기는 했지만
생일이나 졸업식처럼 중요한 순간에
함께 할 수 없었던 재럿.
그의 곁엔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있었지만
엄마가 그리운 건 어쩔 수 없었어요
저는 부모님과 함께 살았지만 두 분 다 바쁘셔서
제 입학식이나 졸업식에 오신 적이 거의 없어요
그럐서 외할머니가 대신 오신 적이 있어서
재럿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어요
재럿의 아빠 이야기도 궁금하시죠?
재럿은 조금 크고서야 아버지를 만나게 되요
처음에는 편지를 주고 받다가 만나게 되요
재럿에게는 두 명의 동생도 생겨요
재럿은 조부모와 비교적 안정된 가정에서 자랐지만
부모의 부재는 분명 마음 속에 빈 자리를 만들었을거예요
엄마가 헤로인 중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재럿은 몹시 괴로웠을것이구요

그럼에도 그림, 만화를 통해
스스로를 위로하며 힘든 마음을 달래며
엇나가지 않고 멋지게 성장한 재럿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것이 엄마에게서 물려 받은 재능이기에
어쩌면 엄마 생각이 날 때 마다
그림을 그리게 된 게 아닌가 싶어요
한편으로는 엄마도 그 재능을 살렸더라면
마약 중독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했어요
어디까지나 제 생각일 뿐이지만요
우리는 부모를 보고 그 아이를 평가하기도 하죠
조손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도 있구요
하지만 재럿은 그런 편견을 깬 아이에요
정말 대단하고 멋지다고 생각했어요
박수를 보내고 싶어요
이 책을 읽는 아이들 혹은 어른들도
살면서 어떤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이겨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그 시간들을 슬기롭게 보낼 수 있도록
재럿에게 만화와 같은 무언가를 찾아보면 어떨까요?
문득 제 이야기를 책으로 쓰면
몇 페이지가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겉보기엔 순탄해보이지만
저에게도 많은 일들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책을 읽으면서도
'나는 이런 얘기들을 써야겠다'하는 생각들이 떠올랐어요
사실 자신의 살아왔던 이야기를
세상에 공개한다는게 쉬운 일은 아닌 것 같아요
재럿이 사는 미국은 우리와 정서가 다른지도 모르겠지만
어두운 가족사를 드러내는게 쉬운 선택은 아니었을 것 같아요

하지만 그는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과감한 선택을 하지 않았나 싶어요
유년 시절, 아픔을 겪은 그이지만
앞으로는 좋은 일만 있기를,
꽃길만 걷기를 응원합니다
"해당 후기는 비룡소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작성한 저의 솔직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