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 일과 나의 미래, 10년 후 나는 누구와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홍성원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생각하는 기계VS생각하지 않는 인간

 

일과 나의 미래, 10년 후 나는 누구와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지은이 : 홍성원 / 출판사 : 리드리드출판

AI 시대 생존의 조건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나의 능력을 키워라

인간의 영역을 빠르게 장악해가는 인공지능 시대

기술의 진화에 맞추어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개인의 능력을 키워라

정말 이제는 인간의 직업을 대신하는 AI들

다들 미래를 보고 직업을 선택해야한다.

내가 살아온 시대랑 너무 다르다

하루하루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한다

적응하기 바쁘고 또 변화하고 있다

이 책은 미래를 먼저 읽고 AI 시대를 앞서갈 수 있는 자기 계발 지첨서

증기 드릴을 이긴 존 헨리가 말해주는 진실

4차 산업혁명, AI 시대에 필요한 생존 조건

생각하는 힘

- 인간과 기계의 대결은 흥미롭게 진행 중이다. 존 헨리의 힘과 속도의 대결에서 인간이 승리 한 이후 체스, 퀴즈, 바둑의 대결에서는 모두 기계가

승리했다. 인간의 승리를 응원했지만, 번번이 기계의 발전 앞에 인간은 무릎을 꿇어야 했다. 그래서 미래의 기계발전에 호기심을 드러낸다.

-불과 10여 년 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기술이 현실이 되고 있다. 이에 미래에는 기술이 어디까지 발전할지 기대를 모은다. 그러나 기술력은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하지 못한다. 상상력을 근거로 발전을 이어나가기 때문인데 생각보다 속도도 빠르지 않다. 상상은 시공간 초월이 가능하지만 기술은 단계에 맞춰 발전하기 때문이다.

-일자리의 형태, 업무를 처리하는 방법은 달라지지만 일자리 자체가 소멸되지는 않는다. 그것이 있어야 사회가 움직이기 때문이다. 기술 변화의 물살에 적응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생각의 차이가 생활의 차이를 만든다. 자기 분야에만 전념하기보다 포괄적이고 융합의 지식을 쌓아야 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개념은 어느

부분에서 일정 부분 연결되어 있다. 철학과 수학, 문학과 미술, 과학과 사회, 과학과 예술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 미래에는 통합적 사고가 더 절실히 요구된다.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발전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생각이 생각을 단련시킨다. 하나의 생각이 다른 생각을 불러와 처음 생각을 단단하게 만든다. 논리와 추론이 여기서 발생한다. 그러나 시발점의 생각이 없다면 생각은 노닐지 못한다. 또한, 생각에 생각을 더하지 못하면 생각도 활력을 잃고 약해진다. 운동하는 것처럼 생각하자.

아주 오래전부터 대학교 수업을 들을때부터 이 이야기를 들어왔다.

없어지는 직업들을 나열하며 먼 미래를 준비하기도 했다.

물론 없어진 직장도 있고 인원수를 줄여서 운영되는 회사 그리고 생각지도 않게 빠르게 변화가 왔다.

나의 세대는 많은 경험을 했고 나의 윗 세대는 더 많은 경험을 했다

하지만 지금 아이들은 나의 과거를 이해못한다

라떼는 말이야~~~옛날 고려시대 이야기로 들으니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하루하루 빠르게 따라가기 위해서

살아가기 위해서

미래를 위해서 노력하고 미리 준비를 할수 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소외되고 다른나라 말처럼 살아가게 된다.

미래가 변화가 우리도 변화고

이 책을 보면서 하루하루 발전하는 현대에 부지런함을 이야기한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미래를 꿈꾸는.......

생각하는 기계와 일하는 시대에 필요한 생존의 조건!

 

생각하는 기계, 생각하지 않는 기꼐, 일, 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