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지음 / 창비 / 2019년 6월
평점 :
오랜만에 빠르게 읽히는 글이었다. 요즘 시대의 사랑법이라 생각하며 읽었고 요즘 세대의 생각이나 말투 등을 엿볼 수 있었다. 20대 초중반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으나 그들의 생각을 깊이 있게 알 수는 없다. 어림짐작으로 자녀의 생각이나 말투 등을 소설을 읽으며 느껴본다. 쿨 한 생각들은 비슷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고, 기성세대로서 가지는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지금 세대의 흐름도 알게 되었던 것 같아서 좋았다. 개인적으로는 <늦은 우기의 바캉스>가 제일 좋았다. 아마도 해외라는 로멘스가 나에게 있나 보다.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 연인들의 감정을 회상했던 것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비를 맞고 길가에 누워있었을 때의 쾌감, 자유 같은 감정을 느껴보고 싶다. 나의 배우자는 결코 하지 않을 행동이라서 갈망하는 것일까?
우럭 한 점의 우주화? 부분과 욕조의 크기에 늘 불만이었던 생각도 같아서 좋았던 부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동성애를 불편하지 않게 받아들이게 하는 부분이었다. 아직 동성애자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회분위기인데(그래서 홍0천이 대표로 많은 구박을 받았) 그 분위기가 흐릿해져가고 있는 것 같다. 세계적으로 동성애를 주제로 한 영화나 소설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어서 인 것 같다. 예술은 항상 시대를 앞서가니까....10년 후이면 동성애가 편안해지려나? 부커상 후보가 된 것도 축하할 일이다.
-광어죠. 아니, 우럭인가? 제가 사실 생선을 잘 구별 못해요. 그냥 비싼 건 다 맛있더라고요.
-맞고 틀려요. 당신이 맛보고 있는 건 우럭, 그러나 그것은 비단 우럭의 맛이 아닙니다. 혀끝에 감도는 건 우주의 맛이기도 해요.
-우리가 먹는 우럭도, 우리 자신도 모두 우주의 일부잖아요. 그러니까 우주가 우주를 맛보는 과정인거죠.
-아.....
-우리 모두가 우주이고 우주의 일부로서 생동하며 관계하고 있다는 게 신기하지 않나요?
- P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