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주의 선언 - 좋은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문광훈 지음 / 김영사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는다는 것은 새로운 지식을 얻는 방법이 아니라 자신이 아는 바를 한 번 더 확인하는 작업이라 했던가. 직전에 읽은 책이 21세기 제언이다 보니, 그 제언 속에서 <심미주의 선언>도 읽힌다. 그게 아니라면 이 시대의 지성인들은 현세대에 현재 자신을 응시하라고 외치기를 하나의 책임으로 생각하는 것인가. <심미주의 미학>은 이름에서부터 다가가기 쉽지 않은 책이지만 한 마디로 '아름다움은 이 세상의 것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천명한다. 개인과 사회가 아름답게 이어지기 위해.


  유명한 성시스티나 성당의 미켈란젤로 벽화. 심미라더니 정말로 작품이 등장한다. 그렇다고 해서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미켈란젤로의 허물로서 주체라는 이야기의 단초를 잡는다. 주체는 쉽게 말해 자신이다. 그리스 시대에는 본인으로 하여금 진리를 찾을 수 있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주체를 버림으로써 신의 진리에 도달했다. 그리고 지금의 진리는 불변함이 아니며, 오히려 끊임없이 변화해 나아가는 것에 있다고 말한다. 즉, 진리는 결정된 어느 하나가 아님과 동시에,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몸부림 그 자체가 된다. 
 

 예술은 그러한 변화로서 본인에 의한-자의적인 변화이다. 미술의 영역은 현대로 오면서 추에서 미를 찾는 것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미술의 역사-미학의 역사는 '미와 반미(反美)'로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렇게 미술은 탄생과 함께 고수와 탈피를 야기시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변화인 것이다. 또한, 개인으로서는 개인과 세계와의 관계를 '점화'시키는 작용이면서, 작품을 보는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종(種)이 동시에 향유하는 미를 찾는 것(審美)이 되므로, 누구도 이 세상에서 무관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예술적이라 말하지 않고 심미적이다 이르는 것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작품을 내어 보이는 예술가에 한정되지 않고, 예술을 즐기는 이들에게 열려 있기 위해.
 
 전체적으로 책은 철학적이고 쉽지 않다. 그러니 한 언저리에 들어간 저자의 아내가 한 얘기-소수만이 미술에 관심이 있고, 그 소수 중의 소수만이 철학적으로, 이런 책을 보고 고민하지 않겠냐고-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쉽게 휙휙 넘길 수 없어 아직 책을 다 읽지는 못했다. 이후는 책을 다 읽고 보충하는 거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