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신청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청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청합니디. 1, 2, 3강 모두 듣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 2, 3강 모두 신청합니다. 한윤형씨 토론이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펭귄뉴스
김중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업무상의 필요로 오랜만에 소설을 읽었다.




처음 이야기 서너 개를 읽었을 때, 알랭 드 보통이 생각났다. <우리는 사랑일까>를 몇 년 전에 읽었는데, 읽는 동안은 내내 신선했었다. 일상에서 누구나 항상 마주치지만 파고들거나 붙잡아놓으려 애쓰지는 않는 단면들을, 그만큼 자세하고 공감가도록 쓸 수 있다는 게 놀라웠다. 그러나 책을 덮고 나니 그뿐, 별로 나를 기억 속에 붙잡아두지 못했고, 그 뒤로 보통의 소설을 더 읽은 것은 없다. 그래서 보통은 내 기억 속에, 사소한 이야깃거리로도 매우 긴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쓰는 작가, 그러나 이 이야기를 하기 위해 굳이 이토록 긴 글이 필요했을까 생각하게 했던 작가로 남아있다.

<펭귄뉴스>를 다 읽고보니 어디서 그런 연상을 하게 되었는지 알 만한데, 그러나 알고보면 완전히 다른 느낌이라는 생각이 든다. 말하자면 막연히 사소한 느낌이었던 건데, <우리는 사랑일까>가 이야기의 본질적 덩치에 비해 이야기의 형식적 덩치가 너무 커졌다는 느낌이라면, <펭귄뉴스>는 충분히 더 커질 수 있었을 이야기를 왜 이렇게 축소시켰을까 하는 느낌이었다. <펭귄뉴스>가 <우리는 사랑일까>와는 다른 점 또 하나는, 이런 인상이 이야기의 형식적 덩치와는 무관하다는 점이다. 훨씬 커질 수 있었는데 너무 작다는 느낌은, 이야기 속에 머물러 있는 동안 내가 겪은 울림, 그 이야기가 펼쳐 보여주는 세계의 크기, 그런 것에 대한 인상이었다. 이야기들이 활개 치며 스스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좀 다른 겉옷을 찾았어야 하지 않나 싶은.

<무용지물 박물관>과 <에스키모, 여기가 끝이야>가 좋았다. <회색괴물>을 읽으며 타자기를 쓰고 싶다는 욕구를 느꼈지만, 그런데 이 이야기는 왜 치과 장면으로 끝맺은 것일까? 제 속도를 찾으려 시도하는 사내와 대비시키려는 의도였던 것 같은데 별로 적절해보이지는 않는다. <발명가 이눅씨의 설계도>는 발상이 재미있었지만 뭔가 이야기를 시작하다 말아버린 것 같은 느낌. 제일 분량이 큰 <펭귄뉴스>가 재미도 감동도 제일 못했다. 해설을 읽기 전까지는 무슨 이야기를 하자는 건지 이해하기조차 힘들었다.

작가가, 이 책의 허와 실을 제대로 판단해서 더 좋은 이야기를 보여준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