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낭만주의에서 아방가르드까지의 현대시론
옥타비오 파스 지음, 윤호병 옮김 / 현대미학사 / 1995년 8월
평점 :
품절
<낭만주의에서 아방가르드까지의 현대 시론>은 1974년에 출간된, 근대시사를 근대성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고찰한 책이다. 번역에 문제가 있지만, 파스의 이 책은 시를 전공하는 나에게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감되는, 개인적으로 매우 중요한 책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나 역시도 한국의 근대시를 근대성과의 관계에서 고찰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이자 탁월한 사상가이기도 한 파스는 서구 근대시의 흐름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갖고 있는 것 같았는데, 그것은 시를 사랑하고 계속 창작의 노력을 경주하였기에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짐작되었다.
파스의 책은 스페인어권 시, 프랑스 시, 영미시를 꿰뚫는 넓이와 그 넓은 시의 자장 속에서 움직이게끔 하는 磁原-시의 근대성에 대한 반발과 매혹-을 끌어내어 보여주면서 근대시의역사를 맥락지워 보여준다. 파스는 근대성을 시간의식이라는 축을 통해 설명한다. 근대는 전대와 다른 특수한 시간의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는데, 그것은 종교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였다. 전근대의 시간관, 순환의 시간관이나 낙원-현세-천국이라는 기독교적 시간관 등에서는 '미래'라는 개념이 중요하지 않았다. 기독교의 미래는 천국의 시간이므로 현세의 미래와는 아무 상관이 없었고 고대의 순환적 시간관에서 미래는 과거였을 따름이다.
근대적 시간관에 와서야 미래는 그야말로 현세적인 새로움이라는 의미를 띠게 되고, 그 미래는 현세의 인간들이 쟁취해야 할 것이라는 의식을 갖게 된다고 한다. 이때 혁명, 유토피아 사상이 등장하게 되며 파스는 이 혁명을 근대를 지배한 근대적 시간관의 극단적 표명이라고 본다. 아날로지와 아이러니를 특징으로 하는 근대시는 이 혁명과의 동화와 반발을 통해 근대 역사에서의 그 위치를 알 수 있는데, 시는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자 적자라는 것이다. 비판이 근대성의 한 특징이라고 할 때 적자라고 할 수 있으나, 근대의 사간의식의 결과-미래에 의해 현재가 차압당하는-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 왜냐하면 아날로지는 태초의 사간, 우주의 상응 상태를 지향하며, 아이러니는 죽음의 의식으로 미래의 덧없음, 유토피아적 의식의 비웃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대시 역시 앞 시대를 비판하며 새로운 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근대성의 자장 속에 있다.
파스의 이러한 생각은 나의 생각과 비슷하다. 근대 문학이 근대성의 산물이면서도 근대의 비판이라는 측면이 문학의 근대성이라는 생각을 나 역시 갖고 있다. 뫼비우스의 띠같은 근대성의 띠를 생각하면 정말, 근대성을 벗어난다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파스의 대안은 나는 약간 흥분 상태 속에서 주의 깊게 읽었다. 파스는 근대적 시간 의식이 이젠 역사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은 근대성의 황혼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면서, 예술 역시 이젠 새로움의 시학이 상투적인 되풀이에 떨어졌다고 진단하여, 예술과 시에 있어서도 근대성의 종말이 다가 왔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이 시의 종말은 아니고 근대시의 종말이라고 한다. 근대시 종말 이후의 시는 미래에 의해 차압당한 현재가 아닌 지금 바로 여기의 시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변화의 시학이 아니라 변화의 토대가 되는 변하지 않는 원리를 찾는 시학이며, 미래와 과거가 수렴되는 지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감각, 그리고 육체성을 길어 올리는 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파스의 주장이다. 이를 나는 심각히 받아들이게 된다. 그것은 근대시를 탈근대를 위한 하나의 지렛대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기획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시의 근대성을 정화시키면서도 그 시적 특성을 과감히 전면으로 내세우는 것, 이를 통해 현재성의 재생, 감각의 재생, 의미의 감각을 추구하는 일, 그것이 어렴풋하게나마 내가 생각하는 시를 위한 변론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