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다 미진신서 7
한스 리히터 지음, 김채현 옮김 / 미진사 / 1985년 4월
평점 :
품절


리히터의 이 책은 표피적으로만 이해되거나 풍문으로만 가볍게 생각되었던 '다다 운동'에 대한 충실한 기록서로, 다다 운동의 실태를 알기 위해 꼭 읽어야 하는 책일 것이다. 저자인 한스 리히터 자신이 다다 운동에 참여한 만큼 기록에 대한 상당한 신뢰성을 갖는 책이다. 더욱 중요한 점은 주로 짜라를 중심으로 다다운동을 서술했던 일반적인 문예사조사의 다다 소개와는 달리, 베를린 다다나 하노버 다다에 대한 실상을 기록해주고 있어서 다다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고 있다.

리히터는 [들어가는 말]에서 다다가 스캔들이 원동력이 아니라 '우리는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라는 물음이 다다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말한다(25면). 다다가 결코 단순한 파괴를 위한 파괴의 예술운동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물론 다다의 무정부주의적 충동은 다다를 움직이는 원동력이었지만, 그것은 모순을 구성하는 한 축일뿐이다. 모순이 운동의 본질이라면 말이다. 다다는 기성의 것을 파괴하면서도 그 파괴에 의해 지평선이 드러난 미지의 것을 향해 움직인다. 파괴하면서 찾는 모순적인 행위는 다다의 생명을 이끈 힘이었다. 하지만 이 모순의 한 축이 사라질 때 다다는 그 생명이 다한다는 것이 리히터의 입론이다.

이런 다다관은 그의 충실한 기록에도 관철되어 나가고 있다. 쮜리히에서 다다가 어떻게 탄생하였고 다다의 구성원들의 개성은 어떠하였으며 그들의 활동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가를 꼼꼼히 정리하면서 각각의 예술을 해체하여 하나의 종합예술을 꿈꾸었던 후고 발과 도발적이고 발랄한 짜라라는 두 개성이 다다를 이끌었지만, 발이 더 이상의 대책없는 다다의 행위에 참지 못하고 다다를 떠나면서 다다의 긴장력은 떨어졌다고 지적한다. 그것은 파리 다다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짜라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브르통의 긴장이 파리 다다를 이끌었다면 역시 파리 다다의 종말도 브르통이 다다에 등을 돌리고 초현실주의를 선언하면서 긴장의 축이 와해되어 결국 다다의 종말이 왔다고 말한다.

그의 책에서 공부하는 사람에게 가장 도움을 주는 바는 다다 활동의 충실한 기록 외에도 다다가 다다 발생 이전의 전위적 예술 운동과 구별되는 특징으로서 '우연'을 들고 있다는 점과 뉴욕 다다, 베를린 다다를 소개해주었다는 점이다. 20세기 초반 당시의 유럽 전위예술은 과거 중압감으로 내려오던 예술들에 대해 극렬히 반대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새로운 예술정신과 예술기법을 창안했다. 수사법의 반대, 활자의 자유로운 활용 등은 이미 미래주의가 선취했고, 꼴라쥬, 추상 미술은 입체파가 그 전조를 보여주었다. 다다이즘은 이러한 기법을 이어받아 사용하고 있었지만 여타 다른 전위예술과 다른 정신과 창작 방식을 보여주었는 바, 그것이 우연이고 우연에 의한 창작방법이다. 종이를 찢어 뿌렸다가 그것을 붙여 그림을 만드는 아르프, 신문에서 활자를 오렸다가 섞고 하나 하나 뽑아 시를 만든 짜라의 행위는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뒤상을 그 대표로 하는 뉴욕 다다의 심오한 철학과 그의 예술의 의미를 밝힌 부분도 변기를 전람회에 보낸 기발한 사람쯤으로 평가되곤 하는 뒤상을 이해하기 위해 꼭 읽어 볼만하고, 상대적으로 소개가 되지 않았던 베를린 다다의 예술 운동 소개 부분에서는 다다 운동이 정치적 급진주의와 어떻게 결합되었던가를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20세기 초반, 전위 운동의 절정을 보여주었던 다다의 실상을 알기 위해선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