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해가 떴습니다 사계절 동시집 14
정연철 지음, 김고은 그림 / 사계절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서 해가 떴습니다.

정연철 동시집/김고은 그림

사계절

 

작가가 시를 표현하기를 시 조각들을 줍는다는 표현은 근래 들어본 말 중 신선한 말이라 생각되었다.

시는 사람의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정화해주고 온화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 순기능을 잘 아는 글쓴이의 마음이 알아서 해가 떴습니다 동시집에 고스란히 묻어난다.

 

다른 동시집과는 다르게 걸쭉한 사투리 표현도 있고 우리네 사는 이야기의 표현이 많이 있다 보니 피식 웃음이 흐른다. 시골 할머니 생각, 우리 가족 생각, 학교 친구들 생각나게 하는 이야기 속에서 아이들의 생활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보인다.

아이들의 행동과 말투에서 느껴지는 자연스러움이 책을 보고 있는 내내 머리를 끄덕이며 동화되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알아서 해의 의미를 잘 표현해 놓았다.

아이들에게 무엇을 하라는 의미는 지겹고 힘든 일이 대부분일 것이다. 하라는 의미에 더하여 알아서 해의 말에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 일들이 복합적일 수 있는 이야기를 그림과 어울려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알아서 하란 것은 엄마도 참 힘든 일이다.

노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공감도가 높다.

아이는 말랑한 홍시를 지는 해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며 표현력과 상상력이 기발하다고 이야기한다.

홍싯빛 노을이 왠지 가족과 둘러앉은 따뜻한 저녁 식탁이 떠오른다.

눈사람이 산타 할아버지에게 보낸 문자는 눈사람이 정말로 참다가 필요한 것을 말한 기분이다.

엉덩이가 시린 이야기를 현실감 있게 표현하여 아이들도 공감하며 앞으로는 눈사람에 발도 만들어 줘야겠다고 한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은 길가에 이쁜 꽃들의 고함이다.

예쁘고 아름다운 건 알겠는데 왜 꽃들을 꺾어 가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들이 꽃의 입장에선 하늘이 무너질 일이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란 말이 나올 법도 할 일이다.

엄마인 나는 화초를 좋아하는데 꽃과 식물을 꺾고 죽이는 것은 절대 안 되는 일이다.

이 시를 보면서 더욱 꽃을 사랑하고 가꿔야겠다. ^^

 

동시는 거창한 무언가가 아니라 작은 일들의 경험을 통해 남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일이다.

일상생활에 무수히 일어나는 일들을 재미와 즐거움으로 승화시켜 소통하는 알아서 해가 떴습니다를 통해 아이들이 주변의 일어나는 일들과 잘 교류하고 이해하며 커가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