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소리, 젬베 내친구 작은거인 54
홍종의 지음, 김주경 그림 / 국민서관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혼의 소리, 젬베

홍종의 글/김주경 그림

국민서관

 

레테이파라는 이름은 밤에 태어난 아이라는 뜻이다. 큰별 같이 반짝이는 아이가 되라며 띠루 할아버지께서 지어주신 이름이다. 그런 그 아이는 바무의 젖을 먹고 자랐다.

아프리카의 드넓은 밤하늘에 이름같이 빛나고 반짝이는 순수한 아이이다.

주인공 레테이파와 염소 바무는 동료이자 친구로 항상 붙어있다. 같이 살고 있는 띠루 할아버지는 부모와 같은 존재로 레테이파를 진짜 손주처럼 잘 봐주신다.

(사실 띠루 할아버니는 레테이파를 주워다 길러주신 분이다)

동네의 쿠막지 아저씨는 레테이파를 다른 곳으로 팔아넘기기 위해 띠루 할아버지에게 접근하여 감자와 옥수숫 가루를 가져다주었지만 여의치 않자 다시 음식을 몽땅 가져가 버렸다.

아프리카의 삶이 녹록치 않은 하루하루가 지나간다.

어느날 촌장의 딸인 구파이가 두들기는 젬베 소리를 듣게 된다. 구파이와 친해진 레테이파는 구파이가 싸준 음식들을 가지고 당당히 집에 들어가지만 쿠막지 아저씨의 오토바이에 치어 죽은 바무를 보게 된다. 가족을 잃은 슬픔 이상으로 힘들어 하는 레테이파를 본 띠루 할아버지는 그 날부터 아이를 위한 젬베를 만들기 시작한다.

할아버지는 얼마 전 번개를 맞고 쓰러진 린케나무의 몸통을 파고 바무의 가죽으로 젬베를 만들어 주신다. 신기하게도 그 젬베 소리는 염소의 울음소리와 비슷하게 들렸다.

바무와 린케나무 그리고 젬베에 새겨진 레테이파의 이름, 할아버지를 상징하는 젬베의 끈이 다 모여 영혼이 깃든 하나의 젬베가 완성 되었다.


영혼의 소리, 젬베는 책으로 보아 소리를 들을 수 없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소리와는 많이 다를 것 같다는 느낌이었다.

아이와 책을 읽고 이야기 한 내용은 이 곳 서울에서 듣는 젬베 소리와 아프리카에서 듣는 소리와 확연히 다를 꺼란 생각이었고 비록 죽고 없는 염소 바무지만 하늘에서 내려다보고 할아버지와 레테이파를 지켜주며 항상 같이 있을 것이란 이야기를 했다.

우리에게는 멀게 느껴지는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어렵고 힘든 주인공의 상황이 아이들에게는 현실적으로 와 닿기는 힘든 이야기를 "젬베" 라는 작은 악기를 통해 공감과 이해를 통해 가까이에서 보고 듣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