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이 좋아한다고 해서, 그리고 무엇보다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사랑하는 마음을 전해주고 싶어서 고른 책입니다. 사랑한다는 말을 하기 쑥스러운 어른들도 이 책만 읽어주면 큰 소리로 사랑한다고 말하게 된답니다.
솔직히 제 눈으로 보기에는 그림체가 썩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이 꼬맹이는 이 책을 좋아해서 보고 웃는답니다. 그림 속 꼬맹이 보고 따라 웃는 걸까요? 어쨌든 아이가 좋아하니 선물해준 사람도 기분 좋습니다.
아휴, 거대한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군. 대개 전통주의자들은 낙관주의자인 경향이 있다. 이 책의 젊은 부부인 데이비드와 헤리엇은 전통적인 가족애를 몸소 구현하고자 자신들의 경제적 형편을 고려하지 않고 큰 집을 사서 여름 휴가와 크리스카스 때마다 온갖 친인척을 불러 모아 그 큰 집의 방을 꽉 채운다. 그리고 절대 피임은 하지 않고 줄줄이 애를 낳는다. 엄청난 낙관주의자들이다. 직접 애들을 다 건사하지 못해 가사 노동과 육아 면에선 친정 어머니의 도움을 받고 경제적인 면에선 시아버지의 도움을 받으면서도, 그리고 현대의 가치관과 생활방식에 맞지 않는다는 다른 사람들의 조언과 비웃는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가치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러나 이 부부의 행복과 이상은 다섯째 아이 벤이 태어나면서 처참하게 무산된다. 한 마디로 괴물을 낳은 것이다. 폭력적이고 인간답지 않은 이 다섯째 아이를 제어하느라 다른 아이들은 거의 돌봄을 받지 못하고, 또 그 아이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을 느끼기까지 한다. 친척들의 기꺼운 방문도 끝난다. 결국 아이를 버리기에 이르고, 버려진 아이가 어찌 지내는지 보러 갔던 어머니 헤리엇은 처참한 그곳에서 아이를 다시 구해온다. 그리고 벤의 퇴장과 함께 찾아왔던 행복도 끝난다. 아내를 이해할 수 없던 남편 데이비드는 아내에게 등을 돌리고 아이들도 엄마를 미워한다. 괴물 아들의 출현이라니, 참 생뚱맞아 보인다. 누구보다 아들을 많이 관찰하고 고민하고 보살핀 헤리엇은 그를 그 시대에 맞지 않는 유전자의 진화나 신의 형벌이 아닐까 생각한다. 인간의 이상과 이상을 실현하려던 계획은 예기치 않은 복병을 만나 좌절되는데 내게는 이 복병이 자연의 복수처럼 생각된다. 자연을 파괴하고 자연 위에 군림하려는 유일종의 동물에게 자연의 보복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 아닐까?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인 만큼 그들의 이상도 위태하기 짝이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