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들의 아버지 -상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버지들의 아버지
제목만 놓고 보면 우리가 흔히 조상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이야기겠거니라는 생각을 했다. 거기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질문을 제시한다고 하니 읽어보지 않고도 고리타분한 이야기일거라는 생각 또한 들게 했다.
솔직히 이책을 읽게 된 계기는 베르나르 베르베르라는 이름 때문이었다. <개미>를 읽고 나서의 벅찬 감동 때문에 평소에 관심도 없었던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고, 이런 재미없는 주제를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까?하는 호기심이 이 책을 끝까지 읽도록 해 주었던 것 같다.
맨 첫장,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한국어판 서문이 나온다. 외국서적을 많이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번역된 책 치고 한국어판 서문이 있는 것도 드물다고 한다. 자발적이 아니라 홍지웅 사장님과 이세욱님의 부탁으로 빛을 보게 된 서문이지만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과 애정을 느끼게 해주어 책읽기를 한층 즐겁게 했다.
본문 첫장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의 글이 나온다.
내가 생각하는 것.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
내가 말하고 있다고 믿는 것.
내가 말하는 것.
당신이 듣고 싶어하는 것.
당신이 듣고 있다고 믿는 것.
당신이 듣는 것.
당신이 이해하고 싶어하는 것.
당신이 이해하고 있다고 믿는 것.
당신이 이해하는 것.
이렇게 열 가지 가능성이 있기에 우리는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설령 그럴지라도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면 안 된다......
라고 한다. 이 글을 읽었을 때 그런가 보다. 그래 우리 모두 이해해야지?라는 생각을 하며 무심코 책장을 넘겼다.
미싱링크(빠진 고리. 진화의 어느 한 단계에 존재했다고 가정될 뿐 실제로는 화석이 발견되지 않은 생물종 일반을 말한다)에 대한 이야기로 이 소설은 시작을 한다.
아제미앙 교수의 죽음을 계기로 살인범을 쫓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의 각자 다른 미싱링크의 견해가 피력된다. 진화론, 창조론, 유전론, 용불용설, 자연도태, 돼지와 원숭이의 결합, 원숭이의 퇴화, 외계생물에 인한 창조론등등등 우리가 들어보지 못한 여러 이론들과 접하게 된다.
확실하게 밝혀진 진리가 없어서 일까? 모든 이론들이 다 타당하게 느껴진다. 신앙이 있는 사람들은 단지 창조론을 부정했다는 이유만으로 이 책을 불경스럽게 보고, 존엄한 이간을 소설이라도 그렇지 원숭이와 돼지 사이에 태어난 잡종이라고 본다는 이유만으로 아버지들의 아버지에 대한 악평을 서슴치 않는다.
미싱링크에 대한 진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아서 수많은 가설들이 난무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가설이 틀리다고만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소설가지, 과학자가 아니다. 과학자라면 사실을 토대로 진실을 밝혀내야 하지만 소설가는 과학적인 사실을 토대로 약간의 허구를 가미할 수 있는 것이다. 소설가로서의 상상으로 이해할 때 이 책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학교를 다니면서 우리는 인류의 기원에 대해 배우지만 이 책에서 제시된 여러 이론 중 단 두가지만 배운다. 진화론과 창조론. 시험이라는 것을 보기 위해 배웠던 것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느 것이 옳은 이론이다. 라고 딱 꼬집어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생각의 폭을 넓혀주고, 평소에 관심을 갖고 살지 않았던 인류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해주었던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다.
인류의 기원도 아버지들의 아버지에 소개된 것 말고 더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기원에도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우리의 삶에도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
책의 맨 처음 열가지 가능성에 인한 의사소통의 장애는 어쩌면 인류의 기원에 대한 여러가지 가능성이라서 서로들 자기가 믿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할지라도 서로에 대한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하고 우리의 삶속에도 이런 배려가 녹아들어야 한다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가르침이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