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걸음 - 순우리말 동시집 즐거운 동시 여행 시리즈 13
김미영 지음, 배정희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1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우산걸음이랍니다.

이 동시집의 특징은 책에 수록된 57편의 동시들의 제목이 순우리말로 되어 있다는 거예요

이 동시집의 제목인 우산걸음도 순우리말이랍니다.

우산걸음이 어떤 뜻인지는 책 속의 동시를 읽으면 알게 된답니다.

 

 

어린이 동시집 우산걸음은 총 4부로 되어 있답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책 제목들은 모두 순우리말이에요.

근데 알고 있는 뜻은 2~3가지

다들 처음 들어보는 말이지만 참 에쁜 말이구나 싶은 것도 많았어요.

 각각 부의 제목들을 동시집 중간중간에 만날 수 있답니다.

 



제1부 김첨지감투라는 동시와 함께

동시 아래에는 김첨지감투가 무슨 뜻인지 설명이 나와있어요.

어떤 사물이 도깨비장난같이 없어지기 잘하거나, 가뭇없이 사라져 버리는 것.

왜 뭐가 사라지면 귀신이 곡할 노릇이네 하잖아요.

그거와 비슷한 느낌이네요. ㅎㅎ

 

 

이 동시집의 제목이자 제2부의 제목인 우산걸음은

몸을 추겨 올렸다 내렸다 하며 갖는 걸음으로

동시를 살펴보니 걸음이 불편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 거 같아요.

 

 

제3부 어둑발

사물을 뚜렷이 분간할 수 없을 만큼 어두운 빛살이라는 뜻이랍니다.

 

 

제4부 너와집

얇은 돌조각이나 널빤지로 지붕을 올린 집으로 지붕이 물고기 비늘처럼 보이는 집을 너와집이라고 한데요.

지붕이 물고기 비늘이라니 표현이 너무 멋지죠?

 

 

비가 내릴 때도 소나기, 이슬비, 가랑비 등등 구분을 하죠??

순우리말로도 비를 구분하는 말이 있는데요.

그 표현이 너무 예쁘더라고요.

목비, 쌀비, 작달비 예쁘죠??

 

 

시나브로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죠??

저도 시나브로라는 말은 순우리말로 무슨 무슨 뜻이다 해서 많이 들어봤는데

무슨 뜻인지는 잘 까먹는데요.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이라는 뜻이네요.

시나브로라는 말은 이제 충치로 연관해서 기억해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