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7 : 조선의 건국과 발전 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7
봄봄 스토리 지음, 김덕영 그림, 노인환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딸아이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7권


조선의 건국과 발전이랍니다.



초등역사 히스토리카는 교과 연계 추천도서이기도 하답니다.

1권에서 6권까지는 우리 역사의 시작부터 고려 시대를 담았다면

7권부터 9권 까지는 조선시대 이야기가 펼쳐진답니다.

히스토리카는 신비한 힘에 의해 과거로의 여행을 한다는 설정으로 시대를 설명했었는데요.

딱 한 번 드라마 촬영과 함께 했던 거 빼곤 말이죠.

이번에는 어떤 식으로 스토리를 풀어갈지...




히스토리카 7의 차례입니다.

조선의 건국, 황금기, 사림의 성장

조선 전기의 사회와 문화 등에 대해 다루어지네요.

등장인물은 언제나 같이 로운과 슬기이고,

조선 시대 춘추관의 실록청에서 일하던 관리 사관이 등장하는 걸 보니....

이번에도 신비한 힘에 의한 시간 여행이네요. ㅎㅎ





경북궁을 구경 온 로운과 슬기는 한 사관을 만나게 되고,

사관이 사초를 펼치는 순간

사초의 힘에 의해 조선시대로 오게 됩니다.



도착한 곳은 선죽교.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기 직전의

정도전과 정몽준의 대립하고,


정몽준을 설득하려고 자리를 만든 이방원은 하여가란 시조로 그를 설득하려 하지만

정몽준은 단심가로 답변을 대신한다죠.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이렇게 시작하는 두 개의 시 국어시간에


엄청 외웠던 기억이 있는데 아직도 제 머리에 남아 있네요. ㅎㅎ

결국 이방원의 부하들에게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하죠.

이 내용은 예전에 핫했던 육룡이 나르샤 드라마의 내용이기도 하죠. 


조선이 건국되고, 조선의 수도는 한양이 된답니다.

위치, 교통, 지형, 방위 면에서 모든 게 좋은 위치거든요.

그렇게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 되기도 하지요.





이방원의 셋째 아들이 세종이 왕이 되고,

세종대왕은 조선시대 최고의 왕으로 칭할 만큼 수많은 업적을 남기게 되죠.

천민인 장영실을 발탁해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어 내고,

집현전을 통해 농사직설 등의 책을 펴내고,

현재 우리가 너무나 잘 사용하고 있는 한글을 창제하기도 했죠.

그 밖에도 4군 6진을 설치 북쪽의 여진으로부터의 침입을 막아 백성들을 살게 하기도 하고,

궁증 음악 정비를 하여, 편경, 편종을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어린 단종의 자리를 몰아내고 왕이 되고자 한 수양대군

이 이야기는 이정재가 수양대군으로 나왔던 관상에 나와 있다죠.

결국 김종서를 헤치고 왕의 자리에 앉은 수양대군은 세조로 왕이 되었답니다.



세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는 한편, 

토지 제도를 개편하고 정치적인 안정을 위해 노력합니다.

세조는 왕이 되기 위해 무자비한 살생을 했지만

왕이 된 후에는 조선을 굳건하게 한 왕이지요.

히스토리카 책에서는 이야기합니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평가를 하라고 말이죠.



성종 시대에 조선의 최고 법전 경국대전이 완성됩니다.

경국대전은 수많은 법률을 담아 나랏일을 처리할 때 참고하기 쉽게 만들어진 법전이랍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과 각 지방에 다양한 교육 기관을 설치하여 유교를 가르쳤는데요.

오늘날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서당

중, 고등학교 해당하는 4부 학당과 향교


대학교라 할 수 있는 성균관이 있었답니다.




유교의 나라 조선은 유교를 받아들여

삼강오륜과 기본예절인 관혼상제가 강조되었고,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했던 예절을

스마트폰이 보편화된  지금 세상까지도 행해지고 있다는 게 웃기기도 하네요.




사초를 물에 씻지 않아서 사관이 슬기와 로운의 시대로 왔으니까

반대로 사초를 물에 씻으면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낸 사관

사관이 사초를 씻자 슬기와 로운은 잠에서 깨어납니다.

꿈을 꾸었다고 생각하는 슬기와 로운

과연 슬기와 로운의 꿈이었을까요?



책의 이야기가 끝난 후에는 세계사와 함께


조선이 건국과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