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인간과 일
토머스 대븐포트.줄리아 커비 지음, 강미경 옮김 / 김영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파고의 등장으로 세간의 주목을 끈 AI(인공지능). 우리는 너무나 똑똑한 그들에 경외감을 느낀다. 이전에도 인공지능 로봇에 인간의 설 자리를 위협받는 영화는 많이 등장했지만, 그 위협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된 것은 알파고가 이세돌과 커제를 완벽하게 이긴 이후이다. 이전에는 AI를 우리가 '이용'하는 도구로 보았다면 이제는 우리가 그들에게 '이용'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우리를 잠식한 것이다. 이러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출간된 이 책에서는 "기계와의 경주라 불리는 싸움에서 우리 인간이 이길 방법은 아직 분명히 존재한다. 그리고 그 방법을 인간 스스로가 찾아야한다."고 말한다.

  은행 창구 직원, 도료통행 징수원, 농부, 공장노동자와 같은 단순 업무자가 아니라 우리가 인공지능에게 절대 내줄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했던 고도의 숙련과 전문지식이 필요한 지식노동자들의 일자리까지 위협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오늘날의 직업은 모두 자동화가 가능한 요소를 조금씩 지니고 있기에 지식노동자라 하여 그 위협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일자리 그 자체를 위협한다는 것은 곧 수많은 실업자를 양산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뜻을 포함한다. 먹고 사는 문제에 차질이 생기면 사회의 구조가 와해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국 극단적인 경우 범죄가 늘어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인공지능이 낳을 실업, 그리고 범죄의 문제에 대비해야만 한다.

  그렇다면 AI가 등장하더라도 실업하는 사람이 없게, 다시 말하면 그들에게 잠식당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똑똑히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들은 코드화된 반복적인 일에 대해서는 우리보다 더 훌륭히 해낸다. 하지만 코드화 할 수 없는, 즉 예측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무기력해진다. 우리는 인간만이 해낼 수 있는 것을 찾아 파고들어야 한다. 자동화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잔여 업무는 늘 존재한다. 자동화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이 책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증강'을 제시한다. 인간의 약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인공지능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강점을 찾아내 더욱 증폭시키는 데에도 증강은 효과적이다. 인간은 빅데이터가 놓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통찰력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아는 완벽한 기계는 아니다. 그저 자신의 일을 좋아하기에 열심히 노력하는 보통 인간일 뿐이다. 자신들의 일에 대해 열정을 가진 이런 사람들과 무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AI가 서로 협력하며 증강한다면, 우리는 다가오고 있는 AI시대를 조금은 기쁜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지 않을까.




자신들의 일에 대해 열정을 가진 이런 사람들과 무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AI가 서로 협력하며 증강한다면, 우리는 다가오고 있는 AI시대를 조금은 기쁜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