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호모 사피엔스'라고 규정한다. 호모 사피엔스란 슬기로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거대한 영장류 과를 말한다. 유발 하라리의 책 『사피엔스』에서는 인지혁명, 농업혁명, 그리고 과학혁명 세 개의 혁명을 거치며 우리 인간, 즉 사피엔스가 어떻게 세상의 지배자가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물질과 에너지, 시공간을 존재하게 한 빅뱅이라는 사건을 우리는 물리학을 통해 이해한다. 이 물질과 에너지는 원자와 분자를 형성하였는데, 우리는 이것을 화학을 통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분자들끼리 결합하여 만들어진 생물이라는 존재를, 생물학을 통해 학습한다. 생물 중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의 호모 사피엔스가 나타났고, 그들이 살아왔던 과정을 인류학, 혹은 역사학을 통해 이해한다. 이렇듯 우리가 배우고 있는 학문들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거시적으로 바라보면 결국 하나의 '이야기'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사피엔스』에서는 바로 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몇 만년 전 지구에는 적어도 여섯 종 이상의 인간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호모 사피엔스'만이 살아남아 인간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여섯 종의 인간 중 '호모 사피엔스'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이 의문에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들이 독자적인 '언어'를 통해 '소통'을 했다는 점, 그리고  하늘, 구름과 같은 실재하는 것들과 신, 법과 같은 가상의 실재, 이중적 실재 사이에서 '허구'를 믿는 법을 터득했다는 것이 바로 그 이유였다.
  점점 더 똑똑해진 인류는 농업이라는 생산적 활동을 시작한다. 하지만 질량보존의 법칙과 같이 고통과 행복의 총량도 변하지 않기에, 인간이 행복해지고 부유해지는만큼 반대로 불행해지는 존재들이 있다. 바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인간 외의 다른 생물들이다.  잇따라 일어난 과학혁명, 산업혁명, 그리고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정보혁명 등을 통해 우리사회는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글로벌화, 환경 파괴 등 지금의 세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유발 하라리는 다른 포유동물들이 유약을 발라 구운 도자기 같은 상태로 나온다면, 인간은 용광로에서 막 꺼내 녹고 있는 유리 덩어리 같은 상태로 나온다고 했다. 이것은 인간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서로 다른 종교, 가치관 등을 형성할 수 있음을 뜻한다. 그동안 인간 본성에 대한 가설인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악설 따위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나는 이것이 성무선악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일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이렇듯 『사피엔스』에는 인간 존재에 대해 우리가 고민했던 아주 작고 사소한 문제들이 모두 녹아들어 있다. 

  옮긴이의 말에서 인용하자면 유발 하라리는 큰 질문들을 제기하고 여기에 과학적으로 답변하는 '빅히스토리'를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소재 중 하나가 '만일'이라고 말한다. '만일' 이 때 이랬더라면? 이라는 큰 물음을 제기하고 그 속에서 답을 찾아나가는 것. 그것이 바로 빅히스토리의 방식이다. 이제 우리는 역사를 바라보는 더 큰 시야를 가지고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만 한다. 그리고 이 책이 당신의 '빅히스토리'적 시각을 일깨워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역사 서술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 어떠한 역사 서술이 옳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은, 다양한 서술 방법이 결국 다양한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다양한 관점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그럼으로 우리는 역사를 좀 더 재미있고, 색다르고, 독특, 참신하게 바라볼 수 있으며 어쩌면 좀 더 다채롭게, 실제에 가깝게 여러가지 방안을 고민해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빅히스토리는 정확성이나 실제성은 떨어질 지 몰라도 우리에게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것,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또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빅히스토리가 가진, 그리고 이 책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일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은 권력을 획득하는데는 매우 능하지만 
권력을 행복으로 전환하는데는 그리 능하지 못하다(p.1) 



'사피엔스'적 존재로 이 세상에서 살아남은, 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제 생태계의 정점을 차지하기 위한 권력보다는, 순수한 행복을 찾아나가는 여정을 시작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