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달 전, 한 힐링센터에서 주관하는 웰 다잉(Well-dying) 체험에 참가했었다. 당시 읽고 있었던 책에서 '웰 다잉 체험'을 통해 현재의 내 삶에 감사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을 보고 웰 다잉 체험에 참가했었는데, 정말 신기한 경험이었다. 가장 먼저 영정사진을 찍고, 웰 다잉에 대한 강연을 들으며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고, 마지막으로 유서를 쓴 뒤 수의를 입고 관 속에 들어가는 체험이었다. 체험하기 전에는 영정사진을 찍는다는 것이나 입관한다는 것에 대해서 무서움과 섬뜩함을 느끼기도 했다. 
  웰 다잉 체험을 하기 앞서 무서움과 섬뜩함을 느꼈던 것은 비단 나만의 감정은 아니었을 것이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라는 말처럼 사람들은 아무리 사는 것이 힘들어도 죽음보다는 낫다며 죽음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왠지 모르게 두렵고,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 그것이 죽음일 것이다. 
  그러나 유서를 쓰고 입관하기 전 느꼈던 마지막 생각은 '아, 좀 더 잘 살아볼걸' 하는 후회였다. 사람들의 말에 휘둘려 주저하던 일을 그냥 해볼걸, 조금 더 의미있고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았을걸 하는 후회들. 아무런 준비 없이 죽음을 맞이하게 되니 떠오르는 생각들은 온통 잘 살아내지 못한 삶에 대한 후회였던 것 같다. 죽음을 겪고나니 나에게 주어진 삶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바쁜 일상을 살면서 그 깨달음을 잃어버렸던 나에게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는 다시금 울림을 줬다. 웰 다잉 체험을 하면서 느꼈던 삶의 소중함, 그리고 어차피 모두가 죽는 것이라면 잘 죽기 위해 준비하자는 마음가짐. 결혼은 꼼꼼히 준비하면서 왜 더 중요한 죽음은 꼼꼼히 준비하지 않고, 말하기조차 꺼려하는걸까 라는 저자의 물음에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었다. 죽음을 준비하는 것은 결국 현재의 삶을 더 잘 살아내기 위한 것이라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책은 "죽음을 인식한 순간부터 임종 후 사별까지의 긴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본인ㆍ가족ㆍ의료진 등 구성원별로 임종에 대처하는 자세를 풀어낸" 책이다. 나 자신의 죽음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죽음에 나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게 한다. 책의 제목처럼, 정말 너무 늦기 전에 들어두면 좋을, 늦기 전에 고민해보아야할 것들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잘 죽기 위해서, 그리고 잘 살아내기 위해서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