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희의 밥과 숨
문성희 지음 / 김영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에세이 류의 책을 좋아한다. 책을 통해 한 인간의 생각과 살아가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좋다. 얼마 전 읽었던 한병철의 『땅의 예찬』처럼, 그리고 오늘 읽은 『문성희의 밥과 숨』처럼 사람들은 저마다 꽃과 음식으로부터 자신의 철학을, 삶을, 생각을 찾고 있었다. 누구에게나 주어진 유한한 삶을 무엇으로 채워나가야 할까에 대해 고민하고 있을 때, 이렇게 살아갈 수도 있다라는 여러 삶의 방식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참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 문성희는 '재료가 지닌 본연의 생명력을 망가뜨리지 않는 것이 가장 훌륭한 요리'라는 철학으로 다양한 자연 요리를 연구해온 요리연구가이다. 가볍고 간결한 음식의 가치를 알고, 단순하고 소박하게 살아가고 있는 그녀의 삶을 잘 그리고 있는 책이 『문성희의 밥과 숨』이다. 책의 띠지에 쓰여 있는 "먹기와 숨쉬기만 잘하면 생명은 이어진다. 무엇이 더 필요한가?"라는 말이 그녀의 인생 철학을 잘 보여주는 듯 하다. 그녀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활동인 먹기와 숨쉬기만을 생각하며 사는 삶을, '오로지 살아있음으로써 존재하고 그렇게 존재함 이외에는 더 필요할 것이 없는 삶'을 추구한다. 

  화려하고 좋은 것들을 많이 접하면서 사는 것만이 멋있는 삶이라고 여겨지지만, 나는 작고 소박하더라도 내 공간에서 나의 것들을 바라보며 사는 것이 어쩌면 더 멋진 삶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저 흘러가게 놔둘 수 있는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면 그 속에서 또 다른 행복을 찾을 수 있다. 밥을 먹는다는 일상적인 행위가 저자에게는 온 정성을 다하는 행위이며, 그 속에서 행복과 삶의 의미를 찾는 행위인 것이다. 

너무 많은 것을 보고 너무 많은 것을 생각하고 너무 많은 관계를 맺으면
점점 복잡해지고 할 일이 많아져서 가볍고 단순한 생존이 주는 희열을 잃어버린다. 
먹는 것이 단순해지면 사는 것도 단순해지고 가벼워진다.
몸이 가벼워질수록 생의 찬미도 쉬워지고 삶의 이해도 깊어진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늘도 나의 숨결을 헤아리고 한 그릇의 밥을 먹는 것으로 살아간다." 밥을 먹고, 잘 숨쉬기만 하면 생명은 이어진다. 많은 것을 가지려 애썼던 나에게 그저 잘 먹고 잘 숨 쉬는 존재라는 이유만으로도 너는 잘 살고 있다고 말해주는 것만 같았다. 자꾸만 욕심이 생길 때, 이렇게 되뇌어야겠다. 나는 오늘도 나의 숨결을 헤아리고 한 그릇의 밥을 먹는 것으로 살아간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