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나쓰메 소세키 지음, 김성기 옮김 / 이레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백년이 지난 후에도 일본인들의 정신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나쓰메 소세키의 대표 소설이다. 그러다보니 이 한편의 소설에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거의 동시에 발생하는 주인공에게 당연히 중요한 아버지의 죽음과 커다란 의미를 부여하는 선생님의 죽음에 매개체는 천황의 죽음에 대한 노기 장군의 순사라는 것과 소세키 생전의 발언들을 중심으로 황국신민화를 꾀하는 소설이라는 해석도 있다. 또한, 자살을 감행하는 선생님과 그의 친구 K의 죽음과 마지막까지 아내를 걱정하는 주인공의 아버지의 죽음과 대비시켜 가까운 사람들에 대해 져야하는 기본적인 책임감에 대해서 이야가히는 소설이라는 해석도 있다. 한편, 어린 시절 부모와 원만한 관계와 사랑을 나누지 못해서 결국 비극적인 자살로 인생을 마감한 선생님과 K와 아버지에 대한 원만한 사랑의 관계를 소유한 주인공과 대비하여 부모 자식 간이 사랑이 중요함을 설파한다는 해석도 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은 그만큼 여러 방향으로 사람의 마음을 헤짚어놓을 수 있을만큼 이 소설의 필치가 대단함을 나타내는 것일 것이다. 실로 주인공의 독백과 선생님의 유서는 그들의 마음 속 내면 깊은 곳을 읽어낼 수 있을 정도로 유려한 서사시라는 느낌을 줄 정도다.

개인적으로는 우리 누구나 사회에 대한 도덕적 책임 의식과 지켜고 싶어하는 개인의 실질적인 삶의 현실에서의 괴리감에 고뇌하며 죄책감을 느낀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런 괴리감을 느낄 때면, 내 자신에 대한 실망과 낙담 비슷한 것을 느끼며 고뇌와 죄책감에 빠져들게 된다. 표리부동하고 부조리하거나 무능력한 세태를 내 의식에 각인되어있는 도덕적 잣대로 평가하면서 느끼는 감정에는 과연 나는 우월하다는 교만한 마음은 없는 것일까? 남에게는 인정사정없이 가져다 대는 것처럼 한치의 변명도 인정하지 않고 조금의 상황도 고려하지 않고 나에게도 그 잣대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는 것일까? 성경 마태복음 26장에 나온 예수님의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라는 말씀은 이런 우리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어쩌면 피할 수 없는 우리들의 습성이라 것을 일깨워주는 것 같기도 하다.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결한 마음의 눈으로 부족한 우리 삶의 현실을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을까? 소설의 실질적인 주인공인 선생님은 자신을 기만했던 숙부를 정죄했던 그 고결한 마음의 눈으로 자신의 이기심으로 친구를 기만한 자신의 처지를 직시하면서 결국 낙담과 무기력으로 빠져들고 말았다. 고뇌없이 살아가고 있다면 마음의 눈이 현실의 삶을 외면한 것은 아닐까? 아니면 직시함이 만들어낸 고뇌들을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지 해결하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 주인공 아버지와 같이 우리들은 우리 주변의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책임감이 그 고뇌를 해결해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소설의 전반부는 우연히 알게 된 무기력한 현실을 살아가는 고고한 학식의 소유자인 선생님을 마음 속에서 존경하기 시작하는 주인공의 서술로 시작된다. 중반부에서는 주인공은 병환으로 위독해져 죽음에 다다른 아버지를 돌보면서 시시각각 변해가는 자신의 마음에 고뇌를 시작한다. 종반부는 소설의 핵심으로 자살로 삶을 마감한 선생님의 유서형식으로 씌여진 자서전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와 어머니의 죽음, 자신을 기만한 숙부에 대한 증오로부터 시작된 염세적 사고, 하숙집 아가씨와 사모님과의 인간적인 교제로 인해 조금씩 치유되는 과정, 친구 K와 하숙집에서의 동거, 그리고 아가씨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K와의 갈등. 결국 아가씨를 자신이 차지해야겠다는 욕심으로 친구를 기만하는 선생님은 K의 자살로 충격을 받고, 그 후 자신에 대한 변호로만 일관하는 자신의 행동에 낙담하게 된다. 아가씨와의 결혼으로 삶을 바꾸어보려했으나 오히려 아내는 K의 그림자를 더욱 짙게 드리우게 만들었고, 그는 아내에 대한 최소한의 사랑의 예의를 지키며 무기력하게 살아가게 된다. 결국 천황의 죽음과 노기 장군 부부의 순사를 핑계로 그는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