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exert > [제1강 후기] 재현과 패러다임

오늘 채운 선생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강연회 후기를 올리는 겸, 그리고 질문과 답변시간에 미처 못 한 질문을 드리는 겸하여 글을 올립니다

저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재현의 논리에 대한 비판에서 기존의 패러다임과 어긋나는 개개의 사건들을 '변칙'이라고 여기고 무시하다가 이러한 변칙의 축적으로 마침내 과학혁명이 일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는 과학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연상했습니다. 선생님의 강연 속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재현의 논리)에 안주하지 말고 이에 도전하고 허물어라'는 명령을 들었던 것입니다. 이는 과학자들이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에 어긋나서 무시되는 변칙들('재현의 사유'에 이끌려 무시되는 실재 현상들)에서 ‘틈’과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라는 메시지를 읽었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사유과정은 시공간의 절대성을 상식으로 여겨온 기존의 패러다임(사유방식)을 허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의 탄생과정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면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재현'이라는 개념은 제가 이와 유사하다고 느낀 개념인 ‘과학적 패러다임’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듯합니다.  

과학자들, 특히 물리학자들은 모든 물질현상을 하나의 보편 법칙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꿈이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유일신을 믿는 종교인이나 플라톤과 같은 철학자처럼 자연현상에 보편타당한 절대적인 진리, 즉 모든 물리적 현상을 설명해주는 유일한 물리법칙이 존재함을 전제하고 그것을 찾는 것을 그들의 진리추구 행위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생님께서는 '푸코'의 예를 들어, ‘보편적 진리는 없다’는 것에 공감한다고 하셨고, 단지 진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투쟁만이 있을 뿐이며 '진리를 찾아가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선생님의 ‘진리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은 과학자로서 추구하는 진리와 별개의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재현의 논리 부정’을 과학자의 진리추구 활동에 적용시켜 이해하려고 합니다. 제가 생각해본 그 적용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이들 중 선생님께서 전하고자 하는 바와 일치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받고 싶습니다.  

첫 번째, ‘재현의 논리 부정’ 속에는 ‘진리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을 포함하므로 ‘절대적인 과학적 패러다임의 존재’를 비롯한 보편타당한 자연 법칙의 존재, 즉 자연현상 모두를 꿰뚫어 지배하는 ‘유일한 물리법칙의 존재(물리학자들의 꿈)’를 부정한다.   

두 번째, ‘물리학자들의 꿈’은 인정하지만 ‘절대적인 과학적 패러다임의 존재’는 부정한다.  

세 번째, 자연현상과 이에 대한 해석과는 별개로 ‘인문학적인 차원에서의 사유방식’에만 국한된다.   

선생님의 강연 덕분에 재현(representation)이라는 개념어를 통해 보편적 진리의 존재 그 자체와 그것을 추구하는 것 자체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이러한 시간은 정말인지 흔치 않는 귀한 기회인 것 같습니다. 이는 요즘 흔히 회자되는 ‘통섭’의 좋은 본보기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여담이지만, 선생님 강연 끝나고 집에 오는 길에 빙판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었는데요, 엉덩이가 좀 아프긴 했지만 선생님 강연덕분에 엉덩방아까지도 즐거웠답니다. 그럼 다음 강연에서 또 뵙겠습니다. 그때까지 건강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