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 비담 vs 선덕여왕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7
정명섭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왔을때 책의 두께와 속의 내용을 보고 약간 당황했다. 이건 정말 아이들이 보는 책인것만 같았기때문이다. 하지만 이왕 읽는거 감사히 재밌게 읽어보기로 하고 얇기때문에 하루만에 정독을 했다. 내가 당황했던 것 중에 또 하나가 비담의 캐릭터때문이었다. 울그락불그락 이상하게 생긴 비담의 캐릭터가 상당히 내 기분을 언짢게했다고나할까...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비담역할을 맡은 김남길의 비주얼이 그렇게 무너지는건 정말 받아들이기 힘들었지만 어쨋든 책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도록 신라의 골품제도와 선덕여왕 진성여왕등을 설명해줘서 덕분에 쉽고 빠르게 읽을수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것 중에 한 부분이 바로 진성여왕이 사치스럽고 그녀가 다스렸던 신라는 그야말로 부패하고 정사도 어지러웠다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것은 틀렸다. 진성여왕이아니라 진덕여왕이 사치스럽고 그녀가 다스렸던 신라가 어지러웠다. 이름때문에 많이 헷갈려하는 사람이 많은데 제발 구분을 좀 해줬으면 좋겠다. 책을 읽으면서 신라에만 여왕이 존재할수있었던 까닭이 골품제때문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책에서 나온 선덕여왕과 비담이 드라마와는 상당히 다른 부분들이 많이었었는데, 그것은 드라마의 과대망상, 허구라는 특징이들어가있기 때문이겠지만 앞으로 나오는 사극드라마들은 진실성과 역사성이 많이 들어가있는 스토리였으면 좋겠다. 요즘 초등학생과 중학생들, 고등학생들도 사극드라마가 곧 역사라는 생각을 하고있기때문에 사극드라마 한편으로도 역사를 잘못 해석하고 이해할수있다는 생각이들어 마음이 많이 불편하다.

이 책의 신선한 부분이 바로 법정에서 자신을 변호하고 이를 대변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꼭 법정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같이 느껴져서 책을 읽는 재미가 더 했다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