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학강의
박경필 외 지음 / 부산대학교출판부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책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저 받는 수능 시험지 - 2011 수능 싱크로율 100%
새롬교육 편집부 엮음 / 새롬교육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Thank To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철승 2010-10-31 16: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막판 정리에 딱이네요. 특히 외국어(영어) 지문은 EBS 핵심 지문들이네요. 감사.
 
언어의 기적 : 2011학년도 6월/9월 모의평가 분석 - 어떤 2624문제보다 중요한 모의평가 100문제 2011 6월/9월 모의평가 분석
이해황.유장홍 지음 / 사피엔스21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언어의 기술 보신분이면 말이 필요 없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술자군의 언어의 기술 1 - 1등급을 향한 기출문제 분석론, 2010
이해황 지음 / 사피엔스21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모두들 수능 언어 공부를 나름 해보셨겠죠.

아시다 싶히 시중에 나온는 강의, 책들은 전부다 영역별로 분류. 접근 하고 있죠.

그러니깐 듣기, 쓰기, 산문, 운문, 비문학 등등 으로 나눠서 각각의 갈래의 감상법, 원리를 라고 하는 것들을 가르켜주고 약간의 암기를 요구하며 그 방식대로 그 영역의 문제를 풀어 주죠.

하지만 답답한 것은 문제를 풀 때 소위 감상법, 접근법이라고 하는 것을 떠올려도 문제가 잘 안 풀리죠. 

모르긴 몰라도 국어의 선천적인 재능인 있으신분 몇 을 제외 하고는 제 말에 동감 하실 겁니다. 

이에 반해서 언어의 기술은 통합적인 논리를 중요시 하는게 인상 깊었습니다. 

목차를 보셔도 듣기, 쓰기, 문학, 비문학 이런 구분이 아예 없이 "논리"를 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수능 패턴에 맞게 지필한 책인것 같습니다. 사고과정을 매우 세밀하게 써주셔서 마치 강의 듣는것 처럼 느껴져 더욱 좋았습니다.

그리고 무엇 보다도 공부 하는데 필요 한것!! 흥미죠! 책이 재미있습니다. 기술 소개 요부분이 명확하고 간결한 원리를 가르쳐 주는데 글로만 설명한게 아니라 노래, 그림, 명언, 신문기사, tv프로, 광고, 수학문제(이건 정말 압권이죠ㅋㅋ) 등 을 이용해 전달 해주는 데 아주 팍팍 들어 옵니다.(뭐 재밌다는게 노는것 보다 재밌다 이런건 아니고,,,,,오해 마시길 -.-;;; 공부란것을 하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재밌다 이정도~~)  

또 무료료 제공해 주시는 짧은 강의도 좋습니다. 길지 않아서 오히려 부담되지 않고 좋은듯.... 

마지막으로 수능 언어를 떠나서 살아가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그 예로 책에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기술이 나오는데 [x가 y의 중요한 원인' 이라는 진슬을 약화시키는 기술 4번에 '오히려 y가 x의 원인임을 밝힘'이 였습니다.]그 책일 읽을 당시에는 문제 풀 떄 이런게 기억이 날까??? 조금 의심스러웠지요.

몇일 후 차에서 라디오를 듣다가 간단한 뉴스를 듣게 되었습니다. 내용이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평균아이큐가 낮고, 이를 일정한 집단의 조사를 통해 입증 했다 였습니다. '음... 담배를 피워서 IQ가 낮아 진다고.. IQ가 낮은 사람이 담배를 피운다는 주장의 근거를 찾으면 헛소리가 되겠군..."라고 생각 했습니다. 허걱..ㅋㅋ 저도 모르게 언기에서 배운 기술을 써먹고 있었지요. 아니나 다를까 인터넷에서 찾은 원기사는 "전체적인 결과는 흡연이 IQ를 떨어뜨리기 보다는 IQ가 낮은 사람이 담배를 피울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웨이져 박사는 말했다"를 마지막에 포함하고 있더군요.. 라디오로 편집하신분은 언기를 공부하지 않으셔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빠트린 꼴이 된것이죠.^^  원기사(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13&newsid=20100224164611761&p=ned)

정말.정말. 강추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