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만에 배우는 경제학 수첩 - 바쁜 비지니스 퍼슨의 배움을 돕기 위한 경제학 교양 입문서
일본능률협회 매니지먼트센터 지음, 김정환 옮김, 이호리 도시히로 감수 / 미래와사람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책이나 국제 정세, 호황 불황에 따라 기업이나 소비자의 경제활동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우리는 국가 전체의 경제 흐름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미시 경제학을 공부함으로써 사람들의 소비행동과 시장기능을 이해하고,

거시 경제학을 공부해 국가 전체의 경제가 어떤 매커니즘으로 움직이는지 이해함으로써

경제학적 사고를 갖춘다면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생각할 능력이 생깁니다.

경제 뉴스를 보고 앞으로 경제가 어떤 식으로 움직일지 꿰뚫어 볼 수 있는 넓은 시야를 갖기 위해

경제를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경제를 공부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주제 30가지를 선정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 있습니다.


경제학은 "다양한 사람 또는 경제 주체가 시장에서 물건이나 돈을 교환하는 행위를 어떤 가설에 입각해서 모델화하고 이론적으로 단순하게 설명하려하는 학문"입니다.

경제학은 크게 '미시 경제학'과 '거시 경제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미시 경제학'은 사회를 미시적인 시점에서 파악하고, 개개인의 가계나 기업같은 개별적인 경제 주체의 최적화 행동을 전제로 어떤 시장에서 어떤 경제 활동이 시행되고 있는지 분석하거나 산업간의 연관성을 생각하는 학문입니다.

'거시 경제학'은 국가단위라는 좀 더 거대한 시점에서 물가, 인플레이션, GDP의 결정, 실업, 경제 성장 등 국민 경제 전체의 움직임을 분석합니다.

어구해설과 그림, 그래프등이 어렵고 낯설 수 있는 경제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한 단원 마칠때마다 있는 칼럼은 경제에 대한 상식을 넓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경제의 역사에 대해서 간단히 요약한 내용은 경제학 발전의 역사의 큰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 1890년 앨프리드 마셜이 <경제학 원리>에서 부분 균형 이론을 전개해 실제 경제 정책에 도움이 되게 한 것도 매우 의미 깊은 사건입니다.

1930년대 대공황속에서 케인스가 1936년에 발표한 <일반 이론>에서 탄생해 미국 경제 재건의 주역이 되었고,

그 후에도 연구가 진행되어 경제학의 기본 분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또한 밀턴 프리드먼에 의해 케인스 학파에서는 경시했던 미시적인 최적화 행동을 중시하는 '신고전파'등도 등장했습니다.


 

경제에 대해서 막연히 어렵고 이해하기 힘든 학문이라고 생각한 저와 같은 경제초보들에게

가장 이해하기 쉽게 설명된 입문서라고 생각합니다.

부담없이 하루에 하나씩 배워가는 재미가 있는 경제 길라잡이 책으로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