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사람들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파트를 팔기 위한 오픈 하우스... 그런데 난데없이 은행강도가 들어온다.

옆 건물에 있는 은행에 돈을 훔치러 들어갔던 강도다. 강도는 현금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은행원의 말에 당황했고 경찰차 소리에 옆 건물로 도망을 온 것이다.

그런데 오픈 하우스에 참여한 사람들은 강도를 무서워하지 않는다. 아니 각자의 일에 몰두하느라 신경쓸 틈도 없다. 도대체 그들은 총을 든 강도를 무엇으로 생각하는걸까?

허나 강도의 태도도 그들을 위협하려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도대체 그 안에 있는 그들은 무슨 생각인걸까?  

작가님 작품들 속 사람들은 평범한 사람들이다.  물론 그 평범이란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보통의 사람들만을 의미하는게 아님을 안다. 하지만 이번에 등장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평범함을 가장한 조금 특별한 사람들이다. 평범하게 아파트를 사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라는 것은 알겠지만 사연을 가진 사람들이다. 심지어 강도를 잡으려는 경찰마저도 특별하다.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부터 은행강도가 누군지 그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다. 그런데 읽으면서 등장인물 하나하나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그녀는 왜? 혹은 그 부부는 왜? 그리고 그 경찰들은 왜? 자꾸 궁금해서 그들의 어떤 행동, 어떤 말에 물음표를 자꾸 붙이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의문들을 하나하나 알게 되면서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결고리가 없을 것 같던 누군가는 또 다른 누군가와 관련이 있었고 그들이 꼭 한번쯤 만났으면 하는 바람도 생겼었다

그렇게 웃고 우는 상황들을 읽어가면서 사람들이 가진 다양한 것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평범한 사람들에게도 평범하지 않은 것들은 존재할 수 있고 바보같은 상황을 만들기도 하고 바보같은 말을 하기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 것들로 인해 피해를 볼수도 있지만 의외로 도움을 받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급박한 상황이나 위험한 상황이라도 어떤 사람들과 있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상황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린 소설을 읽고 소설같은 상황이면 어떨까를 상상한다. 작년 봄부터 우린 소설같은 상황들을 현실에서 자주 만나게 된다.

바이러스가 창궐해서 다들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 바이러스로 인해 모두 마스크의 노예가 되어버렸고 사람을 기피해야하는 상황도 맞았다. 얼마나 소설같은 상황들인가. 그러다 보니 불안함은 늘 곁에 있었고 그 불안함들로 인해 불신도 생기게 되었다. 날카롭고 예민함이 사람들에게 자리잡으며 불안은 극에 달하기도 했었다.

언젠가 끝나겠지만 그런 불안은 또 다른 무서움이나 불안도 잊게 만들지 않을까?

등장인물들이 강도를 만나도 무서워하지 않는 것처럼...

그들의 불안한 상황들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지만 강도를 만난 그 상황들은 금새 해방될 수 있어서 무척 다행이다. 대스럽지 않게 모든 상황들이 금새 종료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들이 인질에서 금방 해방된 것처럼...

 

*다산책방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