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허밍버드 클래식 M 2
메리 셸리 지음, 김하나 옮김 / 허밍버드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무역선 선장인 윌턴이 누나에게 프랑켄슈타인 박사와의 만남에 대해 서간문의 형태로시작된다.
윌턴은 처음부터 프랑켄슈타인 박사에 대한 호기심과 호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 독자 입장에서도 다음 편지가
무척 기다려 질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박사는 자신이 만든 피조물의 형상의 괴기스러움에 경악하며 괴물, 악마라고 부르기를 서슴치 않는다.

만일 박사가 만든 피조물이 아름다웠다면 어땠을까. 박사는 그 피조물을 사랑했을까. 책을 다 읽을수록 의문이 들었다. 박사는 아름다운 피조물을 만든 자신을 칭송하며 자신을 사랑해 마지않을 인간 같다. 그래서 결국 그런 비극을 맞이하게 된 것 아닐까.

한편으론 박사의 마음도 어느정도 이해는 갔다. 오랜 연구와 시간을 들여 나타난 결과물이 그토록 그로테스크한 모습이었다면 실망스럽고 슬프겠지.
피조물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하더라도 막상 눈 앞에서 흉측한 모습을 보면 두렵고 피하고 싶을 것 같다.
그리고 괴물을 위해 또 하나의 괴물을 창조하는 일도 궁극적 해결책이 될 수 없는 것도 맞다. 약속을 어겨 괴물의 분노를 사 더 큰 불행으로 이어지는 비극이 안타깝기도 하고 인생의 부조리함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했다.

반면 괴물은 처음부터 안타깝고 슬펐고 무서운 느낌이었다. 자신을 만든 조물주로부터 거부당한다는 것은 존재를 거부당하는 것이니까.  아무것도 모르는 무방비 상태에서 세상에 던져진 괴물은 냉대와 질시로 진짜 괴물이 되어갔다.
단지 흉측한 모습일 뿐인 피조물에서 진짜 괴물로 변해가는 과정은 괴물을 만드는 것은 결국 누구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했다.
막 오열하는 느낌의 대화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괴물의 서술에 행간마다 비참함이 드러나서 읽는 내내 몰입감도 있었지만 힘들기도 했다.

이 작품에 대해 말할때 과학이 발전이나 인간의 오만에 대해 말하는 사람을 많이 보았다.물론 중요한 요소지만 나는 인간의 이기심과 상처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그런 부분이 이 작품을 허무맹랑하게 느껴지지 않게 하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