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 - 질문은 어떻게 세상을 움직이는가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을 너무 좋아했지만, 흔하고 뻔한 <수학의 정석>은 싫어 했던 내게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은 다시금 수학과 사랑에 빠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


우리는 <수학의 정석>에서 공식을 먼저 배울 것이 아니라, 대체 생활 어느 곳곳에서 수학이 쓸모 있는지를 먼저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동기유발'만큼 공부를 수월하게 돕는 요인이 또 있을까. 성인이 된 후에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지 아이들이 알게 된다면, '메타 인지 능력'을 활용하여 더욱 창의적이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학문이 수학이 아닐까 싶다.


그런 생각을 하던 중에 살짝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쓴 저자이자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 뿐만 아니라, 존경하는 생물학자 최재천 교수 두 분 모두 '수포자'였다는 사실!!


이 책을 고등학교 때 읽을 수 있었다면 '수포자'가 되지 않았을텐데...라고 회고하는 최재천 교수님의 추천사가 너무나 인상깊었다. 그것은 곧 내 얘기이기도 했기 때문에 더 공감이 갔던 건지도 모르겠다.


그맘때쯤 국어와 과학(특히 화학, 지구과학)에 완전히 매료되었고, 수학은 4차 방정식, 통계까지 너무 재미있게 공부하다가 미적에 들어서서 무조건 공식을 외워오라는 숙제에 슬슬 멀리하기 시작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결국 컴퓨터공학과에 지원했을 때 미적이 절실했던, 아찔했던 순간까지도...잊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에 대해서라면 여러 가지 기분 좋은 기억이 많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하다.


한편, 지금 하고 있는 업무 특성상 수학을 떼어놓고 아예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이 책은 여러모로 내게 많은 감회를 전해주는 책이었다.


최근 접한 아래 책을 통해 알게 된 문구다. 늘 문학적 사고를 해왔던 내게, 직업은 많은 인식의 전환을 가져다 주었다. 바로 '숫자로 사고하는 법'이다.


비즈니스를 하면서 숫자를 챙기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입니다!


최근 접한 아래 책을 통해 알게 된 문구다. 늘 문학적 사고를 해왔던 내게, 직업은 많은 인식의 전환을 가져다 주었다. 바로 '숫자로 사고하는 법'이다.


직업 특성상 도무지 숫자와 멀리할 수 없는 나같은 사람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많은 수포자들의 마음을 돌릴 만한 책이다.


처음엔 수학의 실용성에 대해 논하는 책이 아닐까 했는데, 마치 수학으로 철학을 하듯 인간의 사고 능력과 우주에 대한 탐구라는 영역까지 깊이 있게 다루는 책이다.


현대 수학으로 풀어낸 7개의 강의를 담고 있는데, 난 가끔 이런 책들을 볼 때면 수학이 예술보다 더 경이롭고 아름답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마치 콜드플레이(Coldplay)의 'The Scientist'를 들을 때의 감동과 비슷하달까. 알랭 드 보통이 사랑을 철학적으로 해석할 때 가끔 수학적 논리와 수사학을 끌어들일 때가 있는데 마치 그런 글을 읽는 듯한 분위기가 풍기는 글로 술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한동안 심심할 일은 없을 것 같다. 게다가 이렇게 멋진 굿즈와 함께라니... 물건을 통해 얻는 만족감은 기한이 짧다던데, 그 말은 영 틀린 것 같다.


너무 갖고 싶었던 '수학 자 북마크'와 'MATH 맥주잔'이라니...ㅠㅠ 이 행복을 어느 누가 한 달 일 년 가고 말 것이라 장담할 수 있겠는가. 몇 년, 아니 수 십 년이 흘러도 볼 때마다 흡족해질 나라는 걸 안다.


온라인 서점에 다시 들어가보니 '수학 머그컵'도 있던데...이 책을 친구에게 선물로 주고 급 하나 더 주문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려고 한다 ㅋㅋㅋ


게다가 이 책 두 권 모두 양장본이라 우주 끝까지, 아니 영원까지 소장각이다. 처음엔 두 권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싶었는데,


<수학이 필요한 순간>은 2018년에 먼저 출간된 이후 베스트셀러로 등극한 책으로, 편집부의 손을 한 번 더 거친 책이라는 점이 눈에 들어왔다. 좀더 살펴보니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를 수학과 연계하여 풀어낸 책이라는 차이점이 있었다.


반면,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은 '질문은 어떻게 세상을 움직이는가'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책이라 더욱 호기심을 자극했다. 2020년 8월에 출간된 책이니 정말 핫한 신상이나 다름 없다.


2년의 간격을 두고 출간된 두 책이 서로 다른 철학적 질문을 통해 수학적 쓸모를 풀어가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꽤나 쏠쏠했다.


다시 돌아가, 이 글의 초반부에서 우리는 <수학의 정석>을 통해 공식을 먼저 배울 것이 아니라, 대체 생활 어디에 쓸모 있는지를 먼저 배워야 한다고 언급했었는데,


수학의 쓸모를 정말 재미있고 유익하게 잘 담아낸 책이라, 개인적으로는 고등학교에서 이 책을 꼭 정규 교육 과정에 넣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대한민국의 수포자는 확연히 줄어들 것이다.


특히 나처럼 배우는 내용이 어디에 도움되는지 반드시 알아야만 머리 속에 지식이 들어가는 유형과 철학하는 과정에서 수학을 자연스럽게 본능적으로 배우는 타입이라면 더더욱 수학에 흥미를 갖고 공부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초-중-고' 수학의 커리큘럼은 물론 수많은 연구학자들의 노고로 이루어진 것이겠으나, 여전히 수포자들이 많은 걸 보면 아직은 형편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무조건 공식 암기를 중시하고, 정답이 아니면 철저히 배제하는 수학. 이 책을 통해 다시금 수학은 실패를 통해 배우는 학문이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고하는 것을 촉진하는 창의적인 과정이라는 걸 되새기면서 그간의 교육 방식이 얼마나 그릇된 것인가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이 책도 좋고, 학습량이 부담이라면 적어도 이 책을 수학익힘책처럼 얇게 한 권으로 만들어서라도,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라는 기획 의도는 잃지 않고 꼭 많은 학생들에게 전해졌으면 하는 내용들이 많다.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 궁금한 모든 분들께 이 책을 마구마구 추천하고 싶은 바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를 참고해 주세요 :)


blog.naver.com/pronl5v2

https://in.naver.com/pron

www.instagram.com/pro_n_

www.instagram.com/pro_n_book

pro-n.tistory.com

https://blog.aladin.co.kr/711514164

http://blog.yes24.com/pronl5v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