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노 in 상하이 도미노
온다 리쿠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챳!챵!챡! 읽어내려간 우당탕탕 좌충우돌인 와중에 질서정연한 #온다리쿠 장편 소설 #도미노in상하이

환상의 보물 ‘박쥐’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대소동극으로, 상하이의 호텔 ‘청룡반점’을 중심으로 스물다섯 명과 세 마리가 동분서주하는 이야기.

초반에는 각각의 시점에서 산발적으로 전개되던 사건들이 회오리처럼 자연스럽고 응당 그러한 자리를 찾아가듯 하나로 귀결된다.

등장인물들이 독특한데 소설이 시작되자마자 불의의 사고로 영혼이 된 이구아나 다리오와 자유를 갈구하며 대탈출을 감행하는 사자성어 매니아 판다 강강이 특히 마음에 들었다.

오랜만에 읽은 유쾌한 일본 소성. 온다 리쿠는 어쩜 이렇게 재밌게 아직도 재밌게 이야기를 쓰나 몰라.

상해의 역동적인 에너지와 메트로폴리탄적인 배경에 촌극에서 튀어나온 듯한 주인공들의 만남. 빨려들어가듯이 슉슉 읽어내려갈 수밖에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에스더버니 에디션)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
레몬심리 지음, 박영란 옮김 / 갤리온 / 2023년 3월
평점 :
절판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좋아하는 책인데 에스더버니라니! 토끼해 콜라보 중에 제일 귀엽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둑맞은 자전거
우밍이 지음, 허유영 옮김 / 비채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아윈은 이 일이 좋다고 생각했다. 밭에 가서 농사일을 하는 것에 비하면 햇볕에 그을리지도 않고 땀도 나지 않기 때문이다. 가끔 아윈은 이 일이 나쁘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보고 “와, 예쁘다.”라고 말하는 물건을 만들어내려면 이렇게나 많은 나비를 죽여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람들이 여자를 보고 예쁘다고 말하는 건 이해할 수 있지만, 죽은 나비 날개로 만든 그림을 보고 예쁘다고 하는 건 그의 상상을 조금 벗어났다.
...
아윈은 자전거를 타고 집에 갔다. 집으로 가는 길에선 늘 살아서 날아다니는 나비를 만나곤 했다. 대부분은 나비 그림에게 흰색 물감 대용으로 쓰는 흔한 배추흰나비였다. 제일 값싼 나비였다.
...
“찢어진 나비는 가치가 없어.”
나비 사체를 정리할 때면 아버지는 입버릇처럼 이렇게 말했다.
아윈은 ‘가치’가 무슨 뜻일까 생각했다. 아버지 머릿속에서 흰네발나비 한 마리는 1엔이고, 당시 공무원 월급은 대만 돈으로 16~17 위안이었다. 이것이 아버지가 생각하는 흰네발나비의 가치였다. 하지만 다른 가치도 있지 않을까? 자전차 뒷자리에서 아버지 허리를 끌어안고 땀 냄새를 맡으며, 노곤한 몸을 스쳐가는 바람을 느끼는 그런 가치 말이다.

『도둑맞은 자전거』 우밍이

🗂️줄거리 : 1992년 타이베이의 가장 큰 상가가 허물어지던 날, ‘청’의 아버지가 자전거와 함께 사라진다. 어린 시절 경험한 거대한 상실을 가슴에 묻어둔 채 어른이 된 ‘청’은 고물 수집가 ‘아부’를 통해 사라진 자전거의 행방에 대한 힌트를 얻게 되고, 자전거가 거쳐온 여정을 거슬러 가보기로 한다. 뜻밖에도 자전거의 궤적은 현대 대만에서 출발해 말레이반도, 북미얀마의 밀림 등 제2차 세계대전의 전장으로 이어진다.

🗂️대만 현대화 과정, 식민 시대의 역사, 전쟁에 휘말린 인간과 동식물의 일생이 켜켜이 얽힌 작품. 아름답고 환상적이다. 특히 말레이시아와 버마의 밀림, 대만의 숲을 묘사한 장면들이 너무 섬세하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전쟁의 또 다른 모습들. 민족이자 가족, 그리고 개인의 이야기. 자전거로 대표되는 시대상. 거듭 나오는 빛과 물에 잠겨드는 듯한 기분. 하지만 작가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오롯이 그 속으로 빠져있게 내버려 두지는 않는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느꼈던 것을 “사실과 허구, 환상이 유기적으로 직조된 이야기를 읽으며 현실의 장대함이 여느 판타지 소설의 세계관을 능가할 수 있음을 알았다”는 역자의 말로 대신하고 싶다.

🗂️처음 읽을 때부터 대학생 때 본 영화 자전거 도둑을 떠올렸다.(실제로 책에서도 언급됨) 책도 영화도 다시 보고 싶다.

📖밀림은 이처럼 찬란하고 죽음도 이처럼 찬란하다. 압바스는 나뭇가지로 다가가 오만한 금빛 털을 만져보고 싶은 충동이 들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다. 하리마오는 십 초쯤 멈춰 있었다. 아니, 아마 일 초 만에 다시 앞으로 걸어갔을 것이다. 그것은 앞발 뒷발을 차례로 내디뎌 소리 없이 수풀 속으로 사라졌다. 강렬한 냄새만을 남긴 채. 하지만 압바스의 뜨겁고 급한 심장 박동은 시간이 한참 흐른 뒤에야 평온을 되찾았다. 자기도 모르게 왈각 눈물이 쏟아졌다. 이 숲속에서 그는 들어갈 것인지 떠날 것인지조차 스스로 결정할 수 없었다. 숲은 한 시대와 같았다.

📖형의 옆모습을 보았다. 세월이 한 겹씩 내려앉을수록 형의 얼굴이 내가 태어날 무렵의 사진 속 아버지와 점점 닮아가고 있었 다. 말하는 속도도 비슷해졌다. 문득 아버지와 어머니가 우릴 낳고 무진 고생을 다해 공부시켰지만, 결국 우리는 아버지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생물이 되어 영영 그들 곁을 떠나버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크라이나에서 온 메시지 - 젤렌스키 대통령 항전 연설문집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지음, 박누리.박상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이 시대 최고의 명연설이란 말이 아깝지 않네요. 이 책 읽고 많은 분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심가져주시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스본행 야간열차
파스칼 메르시어 지음, 전은경 옮김 / 비채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스본을 몰랐을 때 이 책을 한 번 읽었고 리스본에 다녀오자마자 그리움에 영화로 보았고 그리고 이번에 책으로 다시 한 번 보았다.

학교에서 그리스어를 가르치던 그레고리우스, 고전문헌학에 조예가 깊어 문두스*라 불리던 주인공은 어느 비오던 날 수업을 하러 가던 중 키르헨펠트 다리 위에서 난간 위에 선 여성을 만나게 된다. 여성의 모국어는 포르투게스.

*세계,우주,하늘 등의 뜻을 지닌 라틴어

그레고리우스는 수업을 하던 중 이 여성을 쫓아 충동적으로 교실을 나서고, 에스파냐 책방에서 아마데우 이나시우 드 알메이다 프라두가 쓴 언어의 연금술사라는 책을 얻게 된다.

그리고 매일 정해진 일과와 익숙한 공간, 자시의 언어세계에서 안온함을 느껴왔던 게 거짓말처럼 파리를 거쳐 리스본을 향하는 열차에 몸을 싣는다.

리스본행 야간열차는 이렇게 시작된다. 그레고리우스가 우연히, 그러나 운명적으로 갖게 된 책 ‘언어의 연금술사’를 쓴 사람의 모든 것을, 그의 세상과 언어를 쫓는 여정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누군가의 세계를 조심스레 열어보는 것은 그레고리우스가 자신의 세계를 다시 제대로 바라보는 것과도 같다.
그레고리우스는 한 인간의 조각조각난 이야기들을, 아마데우의 분절된 세계를 온전히 완성해낸다. 이 세계를 온전하게 만들어낸 것은 그 누군가의 진실한 언어를 다시 되살림으로써 가능한 일이었다.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문장,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것들 가운데
아주 작은 부분만을 경험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어떻게 되는 걸까?
이 이 책에서 나온다. 정확히는 주인공 그레고리우스가 읽는 책에서 나온다.

리스본에서 낯선 사람이 되어 내가 걸었던 그 길들이, 어느 순간 두 발로 딛고 선 그 길이 오히려 익숙해져서
내가 편안함을 느꼈던 공간이 오히려 낯선 것이 되었을 때의 경험. 그런 경험은 세계로부터 나를 고립시키기도 하지만 삶으로부터 나를 자유롭게 하기도 했다.

리스본행 야간열차를 읽는 내내 밝는 낯처럼 분명하게 읽히기도 했고 터널을 지날 때처럼 분명히 눈으로 읽고 있지만 아무 것도 읽어낼 수 없기도 했다.

언젠가 또 세 번째 읽는 날이 오면 나도 온전히 읽어내려갈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