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팔마스는 없다
오성은 지음 / 은행나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바다가 삶이고, 삶이 곧 바다였던 남자 심만호가 등장한다. 그는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은 후 자신의 배 무성호와 함께 사라지고, 그의 아들 규보는 아버지를 찾아 해맨다. 규보는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가던 중 1년 동안 ‘이문’ 이라는 곳에서 글을 쓰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이문의 원장 한세인으로부터 아버지의 낭독 영상 USB를 받는다. 영상을 보고, 심만호의 오랜 벗 조강우의 이야기를 듣고 나니 규보는 아버지에 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음을 깨닫는다. 아버지는 어디로 간 것일까. 아버지가 쓴 글이 또 다른 문이 되어 당신을 움직이게 한 근원일까.

사라지기 전 심만호의 아버지 즉, 규보의 할아버지가 떠난 곳 ‘라스팔마스’ 이야기를 늘어놓았던 아버지. “규보야. 저 배는 항구가 집일까, 바다가 제 집일까.”(p.47), “나는 여태까진 선장이 배를 이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걸 알았어요. 배도 선장을 이끕니다. 운명처럼 서로를 당기는 거예요.” (p.95) 그렇게 운명은 숙명이 되어 심만호는 본인과 무성호가 있어야 할 자리로 떠났다.

‘바다가 집이자 운명이었던 남자’ 카피가 강렬하게 다가왔던 소설 '라스팔마스는 없다'. 소설은 상실과 그리움, 그리고 사랑으로 가득하다. 라스팔마스로 떠난 심만호의 아버지, 그의 아내 성주댁, 심만호, 지병으로 세상을 떠난 심만호의 아내 경희까지 규보는 알지 못하는 이야기들이 액자식 구성으로 이어진다.

무성호를 몰기 전 외항선 선원으로 일했던 심만호는 규보가 태어나던 날 스페인의 비고 항구에 있었다. 휴게실 책장에 꽂혀있던 옥편을 꺼내 오랜 시간 한 글자 한 글자 읊어보며 태어난 아이의 이름을 짓던 심만호, 그때 그가 느꼈던 감정이 얼마나 귀할지 짐작해본다. 읽다가 문득 언젠가 봤던 다큐멘터리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다큐멘터리에서는 강원도 동해를 가로지르는 한 선장이 등장했다. 어릴 적 꿈이 무엇이었냐는 PD의 질문에 선장은 국문학과를 나오는 게 꿈이었다고 말하며 시 한 편을 읊조렸는데, 사라져가지만 잡고 싶은 시절의 꿈을 품은 선장과 잡고 싶지만 사라져가는 기억을 품고 늘 그렇듯 바다로 나아가는 심만호의 모습이 어쩐지 겹쳐보였다.

망망대해 위를 당연하듯 항해하는 심만호와 그의 배 무성호. 규보는 바다와 배를, 그리고 아버지의 삶을 이해하는 날이 오겠지.

+ 심만호가 쓴 글의 내용이 인상 깊었다. 비록 환상이었지만 그 자체로 흥미로웠다.


p.22 생명의 빛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만 맹목적이었다.

p.23 숱한 세월을 넘실거리면서도 바다는 말이 없었다. 그는 배에 ‘무성호’라 이름 붙였다.

p.25 “배 위에서 흔들리지 않는 법은 바다의 일부가 되는 거다. 일부가 된다는 건 가진 모든 걸 내어놓아야 하는 일이기도 하지.”

p.47 “규보야. 저 배는 항구가 집일까, 바다가 제 집일까.”

p.95 나는 여태까진 선장이 배를 이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걸 알았어요. 배도 선장을 이끕니다. 운명처럼 서로를 당기는 거예요.

p.112 “바다는 늘 거기에 있다. 물안개나 비구름이 잔뜩 낀 날에도, 해일이 일고 태풍이 쓸고 간 뒤에도. 성질이 난 바다가 섬을 삼키려 들 때도 있었다. (······)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바다는 마음을 바꾸고 자리로 돌아가. 해를 보드랍게 만지작거리거나 투명한 물빛을 내어놓으며 이리 들어오라 하는 거야. 바다에는 거북이가 살고, 소라가 살고, 가자미가 성게가 해파리가 살고······, 그리고 거기에 네 아버지가 있어.


#라스팔마스는없다 #오성은 #되겠다는마음 #부산소설 #해양소설 #은행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