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쓰고 싶은 당신에게 - 작가의 마음과 편집자의 눈으로
최은영 지음 / 클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 편집자로 오래 일하다 지금은 글을 쓰고 있는 작가님의 책이다. 아무래도 편집자와 작가의 입장을 모두 겪어봐서인지 실무에 쓸 수 있는 조언과 팁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림책이라고 하면 아동용 책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림책은 아이와 어른을 가리지 않고 많은 독자를 품을 수 있는 책이다. 어른은 아이를 위해 책을 읽어주기도 하고,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면 오래 전 읽었던 그림책을 다시 찾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사실상 아이만을 위한 그림책이라기엔 무리가 있다. 그만큼 영향력이 커서일까, 그림책을 즐겨보지 않았던 나도 우리 나라의 그림책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책 제목이 몇 권씩 있을 정도로 그림책의 위상이 커졌다. 그렇다면 이런 호기심이 생길지도 모른다. 그림책은 어떤 사람들이 어떻게 쓰는 것일까?



'그림책을 쓰고 싶은 당신에게'라는 제목처럼 작가님은 그림책이라는 장르 특징을 설명하는 것부터 영감을 얻고, 내용을 작성하거나 그린 이후 투고하고 출간하는 과정까지 다루고 있었다. 기능적인 방법론은 아니지만 그림책을 어떤 마음으로 쓰고, 어떻게 출간되어 세상으로 나오는지 알 수 있어서 그림책 쓰기를 생각해본 적이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책의 내용 중간중간에 있었던 편집 노트와 창작 노트는 이미 출간되어 있는 그림책의 편집과 구상과정 등이 나와있어서 재밌게 볼 수 있었다. 그 밖에 작가님이 추천하고 있는 그림책도 상당히 많아서 궁금한 책들은 하나씩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예시로 든 그림책이나 추천하고 있는 그림책들은 대부분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니 더더욱.



책 속에서 말하는 '그림책'이란 그림 없이는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고, 독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그러니 그림과 글과 유기적 관계로 절대 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그림책이다. 그렇다면 그림책 작가는 글만 혹은 그림만 그릴 수는 없을까? 이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고 작가님은 말한다. 의외로 그림책을 투고하는 데 글만으로도 도전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글에 가능성이 있다면 그림 작가를 출판사에서 찾아줘서 출간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때문에 그림책 페이지수를 따져 페이지를 전략적으로 구성하고, 말과 글 느낌을 잘 살린다면 충분히 그림책 작가가 될 수 있다.



책을 읽기 전 제일 궁금했던 것이 그림책의 소재는 어디서 구할까였는데 이것 또한 자신의 주변 경험에서, 혹은 주변사람 누군가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로 설정하고 구상할 수 있다고 한다. 배경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해 살아있는 그림책이 되면 훨씬 더 생동감 있어진다. 거기에 더해 독자층을 세부적으로 쪼개서 타깃도 잘 설정해야 그 타깃에게 공감받을 수 있는 이야기를 쓰기 좀 더 쉬워진다고 하니 그림책이라고 쉽게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언어도 최대한 압축해서 표현하고, 그림과 잘 어우러질만하게 써야하며, 뒷 내용이 궁금하게끔 해야하기도 한다. 게다가 하나의 그림책이 만들어지기까지 아무리 짧아도 1,2년 길게는 10년도 걸린다고 하니 만만치않은 작업인 셈이다.



원래 그림책을 잘 읽지 않는 편이었지만 종종 눈에 띄면 읽고 있는 요즘, 그림책의 간결하면서도 풍부한 내용전달력에 새삼 놀랐었다. 내가 어렸을 때 보던 동화들은 안데르센이나 그림형제 같이 많은 사람들이 알던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요즘은 기상천외하면서도 상상력이 가득한 창작 그림책들이 굉장히 많아졌다. 어른의 눈으로 봐도 재밌는 내용,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혹은 아이디어가 재밌다라는 그림책이 눈에 많이 띈다. 책 속에서 말했던 것처럼 어떤 한 문장이나 어떤 한 장면의 묘사가 마음에 들어 들여다 본 경험이 있기도 했고 말이다. 이런 그림책들을 읽고 자랐다면 좀 더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이 될 수 있었을까. 어쨌든간에 아이들과 어른 모두에게 사랑받는 그림책, 그런 그림책을 만드는 작가가 된다는 사실은 분명 매력적임이 틀림없어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