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보그의 큰 문제는 국가사회주의는 물론이고 군사주의와 가부장제적 자본주의의 사생아라는 점에 있다. 하지만 사생아는 너무하다 싶을 만큼 자신의 기원을 배신할 때가 많다. 결국 그들에게 아버지는 있으나 마나 별반 차이 없는 존재다. -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위기 대응 노트 - 역사를 바꾼 리더의 선택들
김준태 지음 / 민음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 자체는 쉽게 쓰여졌는데 역사적 내용에 대한 바탕지식이 없으면 겉핥기식으로 읽힐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디파이가 새롭고 사용하기 쉬우며 전 세계적으로 접근 가능한 금융시스템을 창조할 것으로 믿는다. 예를 들어, 스테이블코인들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은 지금까지 디파이에서 나온 가장 가치있는 혁신들의 예를 보여준다. 그것들은 전 세계의 누구나가 검열저항, 자주권, 암호화폐의 즉각적인 글로벌 접근성으로부터 혜택을 받도록 해준다. 또한 스테이블코인들은 달러의 구매력 안정성을 유지해 주거나 또는 달러가 안정성을 잃는다면 사람들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더 나은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자산으로 자금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다면 디파이는 왜 중요한가? 금융 검열은 실제로 법에 의해요구되는 것 이상의 제약과 훨씬 더 많은 어려움을 부담시키기 때문에 소외된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계속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우리가 선진국들의 상대적으로 안전한 버블 너머를 바라보기 시작한다면 보다 확실한 사실이다. 디파이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훨씬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험 비용을 크게 줄여 주며, 검증 가능한 오픈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계약들은 자금을 운영하기 위해 창립 팀을 신뢰해야 하는 장벽을 크게 낮춰준다. 디파이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의 이미 존재하고 있는 다른애플리케이션들과 쉽고 즉시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들은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으로부터 엄청나게 발전된 것이며, 나는 이 장점들이 여전히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빈방의 빛 : 시인이 말하는 호퍼
마크 스트랜드 지음, 박상미 옮김 / 한길사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전시를 보기 위해서 읽었는데, 책만으로는 만족스럽진 않았다. 그래도 전시를 보는데 도움이 되어서 만족했다. 그래도 호퍼를 알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그림과 이야기가 필요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그림 속 빛은 좀 독특하다. 사람들을 비추고 있긴 하지만 공기를 채우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실제로 호퍼가 표현하는 빛의 특징중 하나는, 인상주의 회화의 빛처럼 대기를 채우지 않는다는 것이다. - P56

화가인 내 친구 베일리William Bailey가 언젠가 호퍼의 형태는 빛의 감각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난 그 말에 동감한다. 호퍼의 그림에서 빚은 형태에 드리워지지 않는다. 그보다 그의 그림은 형태를 가장한 빛으로 구성된다. 그의 빛, 특히 실내의 빛은 그 흐름이 느껴지지 않는데도 신빙성이 있다. 모네의 빛과는 정반대다. 모네의 빛은 사방으로 맹렬하게 퍼지면서 모든 것을 비물질적으로 만든다. - P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