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소셜 - 사피엔스에 새겨진 ‘초사회성’의 비밀
장대익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부터 거울을 볼 때마다 왜 눈에 흰자가 있는지 궁금했다. 눈은 시각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있는 감각체인데, 흰자는 아무 역할이 없다고 생각했다. 이번 책 <울트라 소셜>을 읽으며 오랜 궁금증이 풀렸다. 눈의 공막(눈의 흰자를 공막이라고 하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이 있어서 시선을 알기 쉽고, 이에 따라 다른 개체의 관심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공막은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어 있어 눈동자를 돋보이게 하는 여백의 역할을 했다. 


고양이 전문가들은 고양이의 눈을 똑바로 보지 말라는 이야기를 한다. 고양이에게 눈을 똑바로 바라보는 것은 “싸우자!”라는 의미라고 한다. 하지만 그걸 몰랐던 나는 처음부터 고양이를 똑바로 바라봤다. 내가 너에게 관심이 있다는 표시였다. 다행히 우리 고양이는 인간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해준 듯 하다. 내가 똑바로 바라볼 때 고양이가 나를 한 대 친 적은 없다. 하지만 무슨 생각을 하는 건지 모를 때가 많았다. 이제 그 이유를 알았다. 눈동자의 움직임 없이 시선을 고정해 나를 가만히 바라보기만 했기 때문이다. 고양이의 눈은 인간과 달라서 눈동자의 시선으로 해석할 수 없었다.


눈의 공막처럼 <울트라 소셜>은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인간의 사회성을 읽어낸다. 틀린 믿음을 이해하는 것, 공정성에 민감한 것, 내부자와 외부자의 편을 가르는 것, 언어가 발달하고 학습으로 다음 세대에 지식을 전달하는 것, 이야기를 즐기는 것 등등. 사실 그 특성이 사회성만을 위해 진화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 특성이 인간이라는 종족이 사회를 만들어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 것은 분명하다는 생각이 든다. 


<행복의 기원>도 <울트라 소셜>과 궤를 같이한다. 인간은 생존과 번식을 유리하게 하려고 집단, 사회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선택했다. 그래서 다른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데 유리하도록 진화했다는 거다. 행복은 그 과정에서 선택한 일종의 도구일 수 있다고 말한다. 고통이라는 부정적 경험이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한다면, 긍정적 정서에 해당하는 행복은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추구하도록 한다.


<행복의 기원>은 행복은 한번 이루면 끝까지 지속되는 업적과 같은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책에서는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 경험을 일상에서 더 많이 느끼는 것을 행복이라 정의한다. 연구를 통해 보았을 때 행복감은 어떤 객관적인 조건에 의해서 성취되지 않는다. 행복 수치가 높은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경우 개인의 자유, 타인에 대한 신뢰,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이 행복의 원동력이 된다고 한다. 혼자만 어떤 것을 성취하는 것보다, 다른 이들과 잘 어우러져 살아가는 것을 통해 행복감을 느낀다고 할 수 있을까?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놀라운 사실은 행복할 수 있는 사람은 유전적으로 거의 정해져 있다는 거다. 행복감을 느끼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외향성 성격 특질이라고 한다.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을 많이 만나, 자기 확신이 높고, 보상이나 즐거움을 늘리는 데 초점을 둔다. 행복은 긍정적 경험의 빈도이기 때문에, 새로운 자극을 만나기 쉬운 외향성이 높은 사람이 행복감을 느끼기 쉽다고 한다. 그러면 외향성이 낮은 사람은 도태되는 것인가 하는 의문과 불편함이 있긴 하지만, '사회성'에 중점을 두고 보았을 때는 이해는 갔다. 


책을 읽으며 인간으로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특성이 과학적으로 연구되었을 때 어떤 방식으로 보이는지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과학의 시선으로 보는 책이 늘어가면 갈수록 점점 더 "인간의 존엄성은 때려치워, 인간은 동물이야."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 생각이 인간으로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지는 아직 판단 불가인데, 과학의 시선을 유지하며 조금 더 파헤쳐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