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에스프레소 노벨라 Espresso Novella 6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북스피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책에 나오는 디지언트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인공지능과 다르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반려동물과 같다. 보통 인공지능은 어떤 쓸모가 있기를 바라며 개발된다. 책에서도 빠르게 습득하는 인공지능이나, 가정에서 집안일을 해결해주기 위해서 만드는 인공지능, 그리고 성적 욕망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인공지능이 등장한다. 그러나 디지언트들은 그저 내가 키우는 고양이처럼, 혹은 어떤 존재가 되는 것을 바라지 않고 키우는 아이들처럼 감정적인 교류가 유일한 목적이 된다. 


그리고 그런 존재는 상업적으로 어떤 쓸모도 없기에 지속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 심심한듯 흘러가는 이야기 중에 유일하게 문제 상황에 부딪히는 순간이다. (사실 기술적인 부분을 이야기로 풀어냈기에, 기술 발달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심심하지 않고 놀라움으로 가득찰지도 모르겠다.) 디지언트들이 다른 디지언트와 인간과 교류를 할 수 있는 데이터어스라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은 오래 지나지 않아, 경제적인 이유로 한 회사에 귀속되고 만다. 그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수요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때 책의 주인공격인 데릭과 애나의 디지언트들은 다른 회사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공간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디지언트를 만들어낸 회사는 더 이상 운영하지 않으므로 기술지원이 불가능하고, 이식을 위해서는 수많은 돈이 필요하다.


디지언트의 보호자들은 선택을 강요받는다. 놀거리가 사라진 디지언트들을 작동 중지를 시킬 것인가. (어떤 디지언트들은 문제 해결 방법이 나올 때까지 작동 중지를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아니면 디지언트를 신규 스페이스에 이식시키기 위한 비용을 부담할 것인가. 데릭과 애나는 두 번째 선택을 하지만, 그 역시 수월하지는 않다. 비용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었고, 자신의 몸을 희생하거나 디지언트를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데릭은 상업적인 용도로 디지언트를 개조하는 것을 고려하는데, 그것은 디지언트에 성(sex)을 부여하는 것이다. 최근에 자연과학에 대한 책을 읽으며 종족 번식을 위해 살아가기 위해 하루살이에게 입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대체 종족이 무엇이길래 이토록 거기에 매달리는가. 현재로서는 이기적인 유전자가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라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설명이라고는 하나, 나는 납득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에서도 성적인 자극을 위해 온갖 악행을 저지르고 합리화하고, 성상품이 난무하는 것을 보면서 그것이 사실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책에서 무성으로 만든 디지언트에도 결국은 성적인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것이 의외로 자연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나는 자신을 희생해 비용을 투자받는 것을 고려한다. 나도 애나처럼 나 자신을 희생하는 쪽으로 생각했을 것 같다. 키우고 있는 고양이를 생각해보면, 어떻게든 내가 사랑하는 존재가 있는 그대로 삶을 유지해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크다. 어쩌면 그 존재가 개조됨으로써 변화하는 것이 썩 반갑지 않은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나도 고양이가 원하는 바를 말할 수 있다면 그대로 해줄 것 같기는 하다. 원하는 것을 한다 해도 그것이 옳은 방향일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신 인생의 이야기'에서도 그랬지만, 테드 창의 소설은 잘 모르고 보아도 재미는 있다. 그리고 아마도 잘 알고 보면 더 재미있겠지. 언젠가 이 분야의 지식이 쌓이게 되면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