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구의 모험 - 당신이 사랑한 문구의 파란만장한 연대기
제임스 워드 지음, 김병화 옮김 / 어크로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때 학교에 가기 전 집에서 연필을 뾰족하게 깎아 필통에 넣어두고는 뿌듯해하던 기억이 있다. 0.1mm로 얇게 나오는 비싼 하이테크펜을 사서 펜촉이 부러지지 않게 조심조심 글씨를 쓰고 괜히 글씨를 잘 쓴 것 같아 흐뭇해했다. 지우개똥을 모아 소꼽놀이 하듯 그릇과 음식을 만들어 놀기도 했다. 마음에 드는 다이어리를 찾아 이 문구점, 저 문구점을 돌아다녔다. 어른이 되어서는 문구와 많이 멀어지긴 했지만, 제트스트림 볼펜만은 가방 속에 하나쯤 넣어 다닌다. 


그런데도 문구의 모험을 보기 전까지는 솔직히 내가 문구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했다. 서점에 갔다가도 괜히 옆에 있는 문구류 코너 앞에서 사지도 않을 색연필을 하나씩 써보면서도 좋아서 그런 것이란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만큼 문구는 생활에 굉장히 밀접해서 특별한 무언가로 생각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것을 특별한 것으로 조명한 것이 이 책, 문구의 모험이다. 


"그 물건은 좀 더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 아름다운 물건이니까."


문구의 모험은 익숙한 것을 새롭게 보게 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연필은 홍보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초등학교 때 이후에는 딱히 구매할 일이 없는 문구다. 너무 흔하기 때문일까. 연필에 대한 신비함이 전혀 없다. 솔직히 다른 것에는 이것저것 호기심이 많지만, 연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하나도 궁금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필의 역사를 보니 너무나 새롭게 보였다. 처음 연필을 만들기 위해서는 순수 흑연이 필요했다. 하지만 순수 흑연은 특정 산지에서만 나와 수요를 따라잡지 못했다. 그래서 덜 순수한 흑연으로도 연필을 만들 수 있도록 점토와 섞어 흑연봉을 발명했다. 오히려 그 덕분에 연필은 단단함(H)과 진하기(B)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나올 수 있었다. 


늘 존재했기 때문에 미처 몰랐지만, 처음 발명될 당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문구도 있다. 문구는 대부분 필요 때문에 발명됐다. 만년필이나 볼펜은 잉크를 담아두고 쓸 수 있는 펜이 필요하므로 발명된 것들이다. 그러나 이제껏 없었고 누구도 필요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물건. 포스트잇은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별 필요 없는 접착제에 의해 만들어졌다. 먼저 어디에 써야 할지도 모르겠는 물건이 만들어졌고, 물건이 존재한 이후에 사용처가 정해졌다. 사람들에게 필요를 설득해야 했던 물건이지만, 지금은 없으면 안 되는 물건을 발명한 사람은 얼마나 뿌듯할 것인가. 


"펜은 죽지 않는다."


사실 이제는 종이 위에 글을 쓰는 일보다 컴퓨터 앞에 앉아 키보드를 두드리는 일이 더 많다. 예전 같으면 독후감도 원고지에 썼을 텐데, 지금은 웹사이트에 글을 쓰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인지 이제 문구도 전과 같은 양상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종이와 관련된 문구는 책에서처럼 스큐어모픽 디자인으로만 남을 수도 있다. 이젠 종이에 쓰는 펜 대신, 컴퓨터에 입력하는 입력 도구가 펜을 대신한다. 키보드도 다 같지 않다. 키감이 좋은 기계식 키보드나, 디자인이 유려한 키보드도 있다. 물론, 기존의 펜과 같은 방식으로 타블렛이나, 아이패드에 쓸 수 있는 디지털 펜이 나온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이야기하다보면 자연스레 LP와 CD, 그리고 MP3가 떠오른다. 처음에 LP를 듣던 사람들은 CD를 보고 디지털 음질을 비웃었고, CD를 쓰던 사람들은 MP3를 보고 소장할 수 없는 가벼움을 비웃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아직도 세 가지는 공존하고 있다. 문구도 그러하지 않을까. 만년필, 연필, 볼펜 모두 필요와 선호에 따라 쓰이고 있다. 아직 널리 쓰이고 있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이 디지털 펜도 만년필, 연필, 볼펜과 함께 언급되는 날이 올지 모르겠다. 그리고 또 어느 날에는 문구의 모험의 한 페이지에 디지털 펜이 자리 잡고 있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