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마시는 시간 - 그들이 사랑한 문장과 술
정인성 지음 / 나무나무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솔직히 고백하자면 <소설 마시는 시간>의 6분의 1정도밖에 이해하지 못했다. 목차는 소설과 술을 엮어18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 내가 읽어본 책은 6권(그중에 하나는 심지어 영화로만 봤던 캐롤), 술은 제대로 마셔본 술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자면 맛이 떠오르지 않았다. 버드와이저는 마셔보긴 했지만 1번 마셔본 이후로 다시는 마셔본적이 없어 맛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 마티니도 아마도 한번쯤 마셔봤겠지만 '술맛' 이외의 다른 맛은 떠오르지 않았다. 피나콜라다는 음료수로 코코넛 맛을 마셔본 것이 다이다.


그래서 아쉬웠다. 왜 내가 좋아하는 삿뽀로 실버컵이나 셀리스 화이트, 블랑 1664, 청하, 매화수를 마시는 소설 주인공은 없는지. 물론 이건 정인성님의 소설과 술의 취향이 나와 달라서이기도 하다. 싱글 몰트를 마셔보기는 했으나 향이 좋음 이상으로 빠져들지는 못한 것으로 보아, 아마 내 취향은 위스키가 아닐 것이다.


책을 읽으며 한번 마셔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 술은 세 가지였다.


첫 번째는 <위대한 개츠비>의 민트 쥴렙. 아이스크림도 민트맛을 좋아하기에 스피어민트가 들어간 술에 끌렸다. 다만 알콜 도수가 높아 얼음에 녹여 마셔야 한다는 데서는 '한 번 마셔본 술'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나는 맛있는 술을 좋아하고, 빠르게 마시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기나긴 이별>의 김렛. 상큼한 맛을 좋아해서 라임이 들어간 칵테일이 끌렸다. 첫 잔으로 마시기에 적합하다는 데서 침샘이 솟았다. 다만 하드보일드한 소설이라는 데서 기나긴 이별은 그다지 끌리지 않았는데, 김렛이 맛있다면 도전해볼 생각이 있다.


세 번째는 <개선문>의 칼바도스. 이 술은 순전히 인용된 소설의 문구 때문이다. "칼바도스를 마시고 싶어요. 제발 마개를 따요" 사과향의 풍미가 나는 브랜디와 비슷한 술. 사실 마셔보면 사과보다는 브랜디에서 느껴지는 플라스틱 맛이 강할 것 같은 생각이 들긴 하다. 그래도 나도 제발 마개를 따서 마셔보고 싶단 생각이 먼저 들었다.


술을 마실 수 있는 어른이 된지는 꽤 오래되었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술을 마실 때마다 어른이 된 기분을 느낀다. 특히 소설 속에서 나오는 낯선 칵테일이나 위스키를 마시면 어른들만이 할 수 있는 비밀스러운 일을 하는 기분이 든다. 조만간 책 바에서 어른의 기분을 느껴봐야지.


+ 덧 : 이 글을 쓰고 나서 책 바에서 세 개의 칵테일을 모두 마셔보았다.

아쉬웠던 것은 김렛, 민트 쥴렙은 나쁘지 않았고, 칼바도스는 아주 좋았다.

칼바도스 자체가 '사과주'인지라 사과향이 아주 강하게 났고, 입 안에 감도는 향이 최고였다.


참고로.. 이 책은 책 바의 메뉴판과 같은 성격을 띄므로, 반드시 책 바를 경험해 볼 것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