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아한 거짓말 ㅣ 창비청소년문학 22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단 한 번도 스스로의 죽음을 생각해 본적이 없는 사람을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나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의 자살소식에 그와 큰 인연이 없었을 때에도 마음이 허해지는 기분을 느끼곤 했다. 가장 화가 나는 것은 그 죽음에 대해 비난이 일 때였다. 사람들은 죽음에서 이유를 찾고, 그 이유가 각자에게 합당하다고 생각되지 않으면 살아있다는 것이 우월한 것마냥 거침없이 비난을 하곤한다. 그러나 누가 다른 이의 삶과 죽음을 저울질할 수 있을까?
죽음을 다룬 다른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었다. 더더욱 어린 친구들의 죽음을 대상으로 한 소설은 접하지 못했다. 이 소설에 편견이 있었다면, 죽음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 즉 비난이 있을거라고 생각한거였다. 하지만 이 소설은 천지의 죽음에 대해 비난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죽음에 대한 긍정도 없었다.
소설에서는 줄곧 천지가 죽음을 선택한 것이 잘못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왜 그랬을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은 우아한 거짓말이라는 제목과 맞물려, 천지가 그동안 거짓말을 해왔다는 것을 부각시키고 있기도 하다. 또, 천지의 죽음에 타당성을 얻기 위해 살아있는 사람을 비난하지도 않는다. 천지는 붉은 털실로 그들 모두에게 용서를 남기고 있는 것이다. 단지 이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천지가 거짓말을 하고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뿐이다.
내가 죽음에 대해 생각할 때를 떠올려보면 가장 힘들었던 때는, 삶을 긍정할 수 있는 생각을 할 수 없었던 때였다. 천지도 마찬가지로 삶을 긍정할 수 있도록 이야기할 사람이 없었던 것이 가장 힘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남편을 잃고 두 딸을 먹여살리기 위해 억척스럽게 살아야 했던 엄마. 천지와는 반대로 힘든 상황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사는 언니 만지. 늘 사람의 관심이 고픈 마음과 천지에 대한 애정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던 화연. 자신의 불행을 누군가에게 쏟아버려야 했던 미라. 문제있는 아이에게만 관심을 가지는 선생님. 천지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오로지 혼자서 자신의 삶의 무거움을 견뎌야 했다.
소설에서는 천지의 죽음의 이유가 우울증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울증을 감추기 위해 천지는 괜찮은 것마냥 거짓말을 했고, 천지는 문제 없는 아이처럼 보였다. 그러나 천지의 문제는 이 거짓말이었고 이 거짓말을 꿰뚫어보지 못했거나 거짓말을 알면서도 모른체 했던 어른들과 친구들이 천지에게 죽음을 선택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천지 자신도, 삶에 대해서는 우아했을지 모르지만 죽음에 있어서는 전혀 우아하지 않았던 이 거짓말을 함으로써 다른 선택을 피해버렸다. 이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이 부분이었다고 생각한다. 거짓말이 아니라 진실을 말할 것.
지금 나에게도 거짓말이 아니라 진실을 말할 용기는 없다. 앞으로도 죽음과 삶의 갈림길에 선다면,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거짓말을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작가의 말처럼 누군가 내게 '잘 지내니?'라는 말을 건낸다면, 그에게 '잘 지내지 않는다'는 진실을 말할 용기는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상황에 있을지 모를 친구들에게도 말해주고 싶다. 잘 지내고 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