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모시와 힙합 삼총사 한국의 재발견 10
최은영 지음, 백지원 그림 / 개암나무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재발견- 한산 모시 이야기

​최은영  글  /  백지원  그림  /  개암나무  출판사

충남 서천군 한산 지역을 배경으로 꾸민 창작 동화이다.

모시 짜는 일을 하느라 늘 바쁜 엄마와 그런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며 가수가 되기 위해 오디션 프로그램에 도전하는 수정이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 직물인 모시에 대해 알아보고 모시를 만드는 사람들이 전하는 전통문화의 소중한 가치를 되새겨 본다.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위와 같아요. ^^


  

 모시로 유명한 한산 지역에 사는 수정이는 꿈이 가수입니다. 동네 단짝인 윤미, 서영이와 오디션 프로그램에 나가기로 했어요.

 오디션에서 힙합을 하기로 한 셋은 랩 가사를 써서 부르기로 했답니다.

그러다 수정이는 윤미와 다투고 말아요.

 엄마에 대한 내용을 랩 가사에 담기로 했는데 수정이는 모시를 만드는 엄마의 이야기를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모시 장인인 할머니로부터 모시 짜는 일을 배우는 중인 엄마는 늘 수정이보다 모시가 우선이었거든요.

 또한, 수정이는 엄마가 남의 집 일을 돕는게 마음에 들지 않았지요. 

왜냐하면 수정이 엄마는 아무런 대가 없이 주변 분들의 일손을 돕곤 했거든요...  그런 점이 사춘기인 수정이에겐 답답했나 봅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늦게까지 모시 떡 조합에서 일을 거들고 와서는 밤을 꼬박 새우며 영민이 할머니가 부탁하신 모시를 짜고 있을 때였어요.
마침 친할머니는 아프셔서 병원에 입원해 계신 터라 수정이 엄마 혼자 모시를 만들었는데..

대가 없이 영민이 할머님이 부탁한 모시를 짜고 있는 엄마를 보니 수정이는 골이 날 때로 나 폭발하고 맙니다.

 "우리 집에서는 내가 모시보다 못하잖아!" 다들 나한테는 신경도 안 쓰잖아!" 라며 수정이가 볼멘소리를 합니다.

 

 속상한 할머니는 수정이에게 엄마 팔에 있는 화상 자국에 대해 이야기를 해줍니다.

수정이가 걸음마를 할때쯤 할머니를 도와 어머니가 왕겨불로 모시실을 말리며 콩풀을 바르는 모시 매기를 하던중...

 왕겨에 붙은 불 쪽으로 수정이가 다가가는것을 보고 구해 내는 과정에서 엄마 팔이 불길에 휩싸여 화상을 입었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화상자국이 보이지 않도록 한여름에도 긴팔 옷을 입고, 습관처럼 소맷부리를 손등까지 끌어 내렸던 엄마의 화상 흉터가 자신 때문에

생긴 거라니... 수정이는 머릿속이 하얘지는 기분이었어요.

.

.

 "보기 흉한 화상 자국이 남아 버렸지.  그래도 엄마는 후회하지 않아. 다시 그때로 돌아가도 똑같이 했을 거야.

 설사 더 흉한 화상 자국이 생기더라도 말이야. " 

 "왜 그렇게까지 해?"

"왜라니, 넌 내 자식이잖아. 눈에 넣어도 안아픈,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이니까."

 수정이는 눈물이 나오려는 걸 꾹 참았다.

 이제 엄마는 자신이 하고 싶었던 모시 일을 시작하려고 해요.  수정이도 허락했고요^^

친구들과 다투었던 수정이는 화해를 하며,  친구들과 함께 엄마 얘기로 랩 가사를 쓰기로 합니다.

옆에서 베틀을 짜던 엄마가 노래를 부릅니다.


베틀 걸어 한 필 짜면 닭이 울고 날이 샌다

피를 매어 짠 모신데 어찌 이리 곱고 희냐

베틀에서 허리 펴니 이 내 몸은 백발이라 .......

"모시 짤 때 부르는 노래지. 긴긴 밤을 베틀 앞에 혼자 앉아 이 노래를 부르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일했단다."

 

불현듯 수정이의 머릿속에 멋진 생각이 떠올랐다. 엄마 옆에 앉아 반주를 작게 틀었다.

엄마의 베틀 노래에 반주와 기막히게 잘 어울렸다.

 

 

 

 과연,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삼총사(수정,윤미,서영)는 무사히 오디션 프로그램에  나갔을까요??

엄마를 생각하며 썼던 랩 가사는 어떤 내용인지 책을 통해 확인하시길 바래요~^^

한 올 한 올 끈기와 인내로 만든 한산 모시 이야기에 힙합 삼총사를 등장시키므로,

 자연스런 스토리와 가족의 사랑, 친구의 사랑을 느끼며 한국의 전통과 가치 또한 느낄 수 있었던 감동의 책이었어요.

 

 모시는 기계로 한번에 드르륵 만들어 낼 수 없어요. 모시풀 껍질을 일일이 벗기고, 쪼개고, 삼는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사람이 손수 만들어야

 하지요. 게다가 모시는 한 필을 짜는 데 3개월이나 걸릴 정도로 시간과 정성이 들어요. 

그 때문에 모시 짜기는 1967년부터 우리나라의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어요.

현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산의 모시 짜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답니다.

 


 수천 년 동아안 이어 온 우리의 전통 모시와 모시 짜기에 관심을 가졌으면 해요.

우리 것은 우리가 기억하고 지키려 노력할 때 그 가치가 더욱 크게 빛나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