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종이야기 어린이 인문교양 16
신현배 지음, 안윤경 그림 / 청년사 / 2018년 12월
평점 :
품절


 

 ?신현배  글   /   안윤경  그림   /  청년사  펴낸곳

?


(우리 종 이야기)는 다른 나라 종과 구별되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우리나라 종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종은 언제 처음 생겨났고, 한국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

?

?
  ?-목  차 -


 또한, 상원사 동종, 성덕대왕 신종, 연복사 동종, 내소사 고려 동종,

옛 보신각 동종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들과 수난을 당한 우리나라 종 이야기,  종에 얽힌 옛이야기, 세계의 여러 종 이야기 등을 담고 있다.

?


 ?한국종은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해진 뒤부터 만들어 사용했다고 여겨지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통일 신라 시대인 8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종뿐이랍니다.

 그 가운데 가장 오래된 한국종은 725년 만들어진 오대산 상원사 동종이에요.

?

??

?

?
 

 서양 종은 종 위쪽이 좁고 아래쪽은 벌어져 있는 튤립 모양이에요. 그리고 그 종 안쪽에 추를 달아, 쇠가 쇠를 때려 종 전체를 흔들어 소리를 내요.

 종 안에서 치는 이런 방식을 '내타형'이라고 한답니다. 서양 종은 높은 종탑에 매달아 놓기 때문에 종소리가 가늘고 높아요.

?

그에 비해 한국 종은 항아리를 거꾸로 엎어 놓은 듯한 형태에요.

 서양 종과 달리 종을 치는 나무막대인 당목으로 밖에서 종의 겉면을 쳐서 소리를 내지요. 이런 방식을 '외타형'이라고 한답니다.

 한국 종은 땅에서 낮게 다는터라 종소리가 아래쪽으로 쫙 깔리면서 은은하고 맑은 소리가 나고, 메아리를 남기며 멀리 퍼져 나간답니다.

 종소리가 은은하고 깊으며 그 여운이 길게 이어지는 것이 한국종만의 특징이에요.

 한국 종을 대표하는 성덕대왕 신종의 경우, 한번 종을 치면 그 소리의 여운이 3분이나 이어진다는군요. ^^


?한국종은 상대와 하대에 당초무늬, 보상화무늬, 연꽃무늬 등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었어요.  그뿐만 아니라 상대 아래 유곽 네 군데에는 젖꼭지처럼 생긴 돌출 꼭지인 종류를 넣어 장식했고, 종 한가운데에는 비천상, 주락천인상 등을 조각했어요.


?

?

?

?

-바위에 새긴 종, 안양 석수동 마애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29호로 지정된 안양 석수동 마애종이에요.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지요.

 마애불은 절벽의 바위나 거대한 바위에 선각이나 돋을새김 수법으로 조각한 불상을 말해요.

 (따라서 마애종은 거대한 바위에 새겨 놓은 종을 뜻해요. ^^)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를 통틀어 마애종은 안양 석수동 마애종밖에 없다고 하니 이것이 얼마나 귀한 문화재겠어요?

 안양 석수동 마애종은 그 희귀성과 역사성으로 우리 한국종 연구에 귀한 가치가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답니다.

 (하지만, 국보, 보물급 국가 문화재로 승격되지 않고 지방 문화재로 머물러 있어서 안타까운 것 같아요.)





 해마다 12월 31일 자정이면 어김없이 치르는 행사가 있지요? 서울 중심가인 종로의 보신각에서 열리는 제야의 타종 행사..

(올해가 저물어 가는 이때, 며칠 후면 타종 행사를 하겠네요~ ^^)

사람들은 이 자리에서 종소리를 들으며 한 해를 보내는 아쉬움을 달래고 새해의 꿈과 소망을 기원하는 거랍니다.

 1895년 3월 15일 큰불에 타서 없어진 종각을 다시 지었고 고종이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내렸답니다.

이 때?부터 '보신각'이라고 불리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종루'라고 했는데, 종루에 걸려 있는 종을 쳐서 도성의 성문을 열고 닫았다 해요.

새벽 4시에 큰 종을 33번 쳐서(이것을 '파루'라고 칭함) 도성의 성문을 일제히 열게하고,

 밤 10시에 큰 종을 28번 쳐서(이것을 '인정'이라 칭함) 성문을 닫게 하여 통행을 금했답니다.

 (여기서 33은 불교에서 말하는 도리천, 곧 하늘의 33천을 뜻하고, 28은 하늘을 28개의 별자리로 나누었기 때문이에요)

?




이외에도 수난을 당한 우리나라 종 이야기는 물론, 종에 얽힌 옛이야기들도 알 수 있어요.^^


  산불로 녹아 없어진 낙산사 동종은 내가 살고있는 시간대에서 일어난 일이라 더 마음에 와닿더라고요..

 (그 당시 뉴스를 접하며 온 국민이 안타까워했었죠..ㅠ.ㅠ)

낙산사 동종은 조각과 문양이 아름다우며, 보관 상태가 좋아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범종으로 꼽혔는데 말이죠~

 2005년의 산불로 이제는 다시 볼 수 없게 되었지만, 2006년 10월경 학자들이 이 동종을 복원하여 낙산사에서 타종식을 열었답니다.


성덕대왕 신종은 2004년부터 계속 치면 종이 훼손될 것을 우려해 더 이상 치지 않고 전시하고 있답니다.

 물론 이 종 외에도 많은 우리의 옛 종을 전시해두는 경우가 많아진 것 같아요. ^^

아름다운 우리의 종을 잘 보존해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우리 종 이야기) 어린이 인문교양 도서로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