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나루의 날씨장수 좋은꿈어린이 12
이붕 지음, 장명희 그림 / 좋은꿈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꿈 출판사에서 출간한 <마포나루의 날씨장수>는 이붕 창작동화로 이붕 작가가 글을 쓰고, 장명희 작가가 그림을 그렸습니다. 날씨장수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느껴졌고, 표지의 그림에서 보이는 시대적 배경은 과거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인 듯했습니다.
책장을 펼치기 전에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거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날씨를 예측했을까 하고 말입니다. 천체의 흐름을 알고 있었을까? 현대처럼 기상청의 역할을 하는 곳이 있었을까? 하고 말입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날씨는 우리의 삶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기 때문에 예나 지금이나 날씨는 우리가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도 있는 마포나루라는 지역에 날씨장수 이야기라 하니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년의 이름은 김필수로 사는 것이 넉넉지 않지만 사랑하는 가족들과 행복하게 사는 소년입니다. 이 소년에게 다가온 선비 (토정)은 그에게 사명감을 가지고 해낼 수 있는 일거리를 알려주게 됩니다. 바로 날씨를 파는 날씨장수였지요.
당시에는 전국에서 걷힌 세곡들을 배에 실어 한강 나루로 들어왔다고 해요. 그 세곡들이 궁궐에 전해지고 또다시 나룻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시절이니 날씨가 얼마나 중요했을까요?
지금처럼 통신시설이 발달하지 않았으니 남아있는 가족은 배가 풍랑이라도 만나지 않았을까 돌아올 때까지 하늘을 향해 빌었음은 보지 않아도 상상이 갑니다. 이렇게 날씨는 장사꾼들의 운명도 가를 수 있을 만큼 중요했겠지요.
누구도 팔아본 적이 없는 생소한 직업,  날씨장수는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나 자라는 힘없는 소년 김필수를 지켜본 선비 토정을 만나면서 탄생하게 됩니다.

 

날씨장수를 완벽하게 해내기 위한 필수의 노력과 토정의 가르침으로 필수는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하나 날씨장수로서의 업무를 익혀나갑니다.
필수는 새벽안개가 짙으면 그날은 맑고, 낮에 안개가 끼면 오후 내내 흐리고, 굴뚝을 빠져나온 연기의 흩날림으로 바람의 세기를 일다는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많은 정보들을 관찰하게 되고, 꾸준히 관찰하다 보면 보이게 되는 규칙들을 모아두면 모두 날씨를 짐작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것을 토정을 통해 배우게 됩니다.

 

물론 처음부터 모든 것이 순탄하지만은 않았고, 중간중간 고비도 맞게 되지만 가족들의 합심과 토정의 조언, 필수의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마포나루의 '소년 날씨장수'로 인정을 받게 됩니다.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고 장비도 없던 그 시절, 하루에도 몇 번 바뀌는 날씨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았을 테지만, 전해오는 날씨 예측의 경험들을 확인하는 일을 시작으로 하여 필수는 매일 날씨를 조사하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하루도 빠지지 않고 그 기록을 통해 분석하는 공부를 하며 하나하나 날씨를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얻게 되지요. 당시에는 천체와 자연, 동식물의 움직임 또한 귀한 기상정보로 어느 하나도 허투루 넘겨 볼 수가 없었답니다.
중간중간 고비를 넘겨가며, 온갖 고난과 수모에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날씨 장수로서의 역할을 해낸 소년 필수를 통해 16세기 후반 당시 전국 문물이 모여드는 마포 나루의 생활상도 상세하게 알게 되었고, 그들의 삶의 애환 또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야기를 마치면 <문답으로 알아보는 날씨 이야기>를 통해 날씨와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중 공감이 가는 질문이 있어 소개합니다.
"무릎이 아프면 날씨가 나쁠 거라는데, 그 말 맞나요?"
우리 몸의 관절안에는 압력을 느끼는 아주 예민한 신경 조직이 있는데, 기온이 낮고 습도가 올라가 바깥 기압이 낮아지면 무릎관절안의 압력이 올라가 신경이 자극을 받아 아프다고 합니다.

 

마포나루의 날씨장수 김필수는 아무런 장비도 없던 그 옛날, 꿈을 가진 필수가 노력하여 날씨를 예측해 가는 이야기로 진솔한 서민들의 삶과 애환, 가족들의 사랑 등 인간이 자연과 공존해가며 살아가는 모습을 여러 사건들을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필수의 노력하는 삶을 통해서 끈기와 용기, 가족들의 사랑 또한 공감하며 과거 조상들의 이런 노력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가 이렇게 있는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