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도 쌀 잘 먹었어요 ㅣ 풀과바람 지식나무 35
김남길 지음, 강효숙 그림 / 풀과바람(영교출판) / 2017년 11월
평점 :
<오늘도 쌀 잘 먹었어요>는 김남길 글, 강효숙 그림의 풀과바람 출판사에서 출간한 책입니다. 교과 연계 내용에 포함이 된 주요 정보가 수록된 책이에요. 특히 머리글이 영문으로도 소개되어 있어 눈길이 갔습니다.
쌀은 나라 살림의 근본이었고, 밥은 우리 민족의 든든한 주식이었지요. 쌀이 우리 민족에게 가져다준 먹을거리 이상의 풍요는 민속, 민요, 풍속 등의 공동체 문화를 탄생시켰지요. 인류의 미래 식량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쌀에 대해 열두 가지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곡식은 인류의 생명 에너지'로 시작하여 '벼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우리에게 전해주는 지식의 보따리를 하나하나 열어봅니다.
쌀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전에 곡식이 인류의 생 명 에너지임과 곡식이 주식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합니다. 인류의 문명이 시작된 기원전 3000년쯤에 세계 4대 문명이 모두 강가에서 탄생한 배경은 필요한 식량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과 문명사회의 기틀을 마련해 준 곡물이 밀과 쌀이라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곡식이 문명의 발달에 끼친 영향과 오늘날의 현대화된 산업사회를 이룩하는 데 근본적으로 이바지한 식량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려줍니다.
잘 알지 못했던 자세한 정보가 많이 담겨 있어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두 가지 종의 쌀 중 우리가 즐겨먹는 것은 자포니카랍니다. 생소한 명칭이면서 새로운 정보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그림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게 합니다. 우리는 약 1만 4000여 년 전 벼농사를 지었다고 해요. 우리나라의 밥상 역사를 시대별로 알려줍니다. 대화체로 친근하게 설명하고, 삽입된 삽화가 유머를 제공하여 흥미를 더해줍니다.
벼의 일생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주요 정보를 제공합니다. 벼가 쌀을 남기고 짚이 되는데, 모든 생활도구로 이용되었던 짚의 사용처와 도구에 대해 상세히 알려줍니다. 초가집, 가마니, 땔감, 청국장의 깔개, 소의 밥, 도롱이, 새끼줄, 멍석, 짚신, 금줄, 망태기 등 우리 조상들은 짚 하나로 모든 것을 이용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답니다.
책의 후반부에는 쌀을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생각하게 된 배경과,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량의 위기, 쌀이 남아도는 이유, 벼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 심도 있는 문제를 제시합니다. 항상 맛있게 먹어왔던 쌀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강력하게 알려주고 있어요.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병들었던 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많은 농가들의 노력이 결실을 보기를 기대해 봅니다. 다양한 접근으로 광대한 지식을 제공해 준 유익한 책이었어요. 마지막 부분은 쌀에 대해 알게 된 지식을 퀴즈로 풀어보는 '쌀 관련 상식 퀴즈' 75문제와 '쌀 관련 단어 풀이'로 구성됩니다. <오늘도 쌀 잘 먹었어요>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쌀의 역사뿐만 아니라 쌀의 소중함과 환경의 중요성을 알게 된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쌀 박사가 되고 싶은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추천하는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