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혼의 소리, 젬베 ㅣ 내친구 작은거인 54
홍종의 지음, 김주경 그림 / 국민서관 / 2017년 9월
평점 :
출판사 국민서관의 <영혼의 소리, 젬베>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젬배는 아프리카의 북으로 동화책의 배경은 아프리카에요. 작가 홍종의님은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 사람이 직접 만든 마법의 젬베를 가지고, 젬베를 배워 연주를 하는 동화 작가입니다. 그가 젬베를 치며 동화 속의 주인공들과 그 외 등장인물들을 그들을 동화 속으로 초대를 했습니다. 우리는 그 초대에 응하여 아프리카로 잠시 여행을 떠나봅니다.
주인공 레테이파는 오랜 시간 비가 한 방울도 오지 않는 척박한 땅, 아프리카에서 살고 있는 소년입니다. 하루하루 힘을 잃어가는 띠루 할아버지와 오랜 친구, 늙은 염소 바무와 함께 마을에서 뚝 떨어진 곳에서 살고 있습니다. 가뭄으로 남겨진 이들의 삶은 하루하루 견뎌내기가 힘든 모습을 잘 묘사했으며, 대화체 형식의 부드러운 문체로 편안하게 읽어내려갔습니다.
백 살도 넘는 언덕 위 린케나무마저 번개의 불화살을 맞고 불이 타 버립니다. 레테파이와 바무에게는 소중한 쉼터이자 놀이터였던 린케나무의 사라짐은 레테이파의 또 다른 삶의 시작점인 듯합니다. 삶에 있어서 소중한 것을 잃음으로써 막다른 골목길에 서서 새롭게 바라보게 되는 세상이 있듯이 말입니다.
레테이파가 이야기 속에서 만나게 되는 주요 인물들은 레테이파의 집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이웃 쿠막지 아저씨, 촌장님 집에서 관리자의 역할을 하는 달쿠시, 촌장님의 딸 구파입니다. 이중 구파는 레테이파의 삶에 긍정과 희망의 미래를 선물하는 주요인물입니다.
구파는 어렸을 적 띠루 할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젬베를 연주하며 영혼의 소리를 느끼고 교감합니다. 그 과정에 레테이파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가지고 사회적 약자인 그의 삶에 개입하여 많은 도움을 제공하게 됩니다. 힘든 삶 속에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고민은 다르지만, 젬베라는 악기의 연주는 깊이 있는 소리와 리듬을 통해 서로의 교감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매개체가 됩니다.
인간은 나약함을 가지고 있기에 깊은 상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만, 그런 상처를 보듬어주고 안아주고 치유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젬베는 13세기 무렵 서 아프리카의 기니와 말리 지역에서 유래된 전통 타악기라고 합니다. 절구통 모양의 몸통과 염소 가죽으로 북피를 덧댑니다. 우리나라의 장구와 비슷한 모양이기도 합니다. 북피를 북채로 쳤을 때에 울려 퍼지는 공명음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혼연일체 된 인간과 악기와의 만남에서 심리적인 안정감 그 이상의 무언가를 제공되는 듯합니다.
레테이파는 오랜 친구 바무를 사고로 잃게 되고, 힘든 이별의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띠루 할아버지는 쇠약해진 육신에 힘을 더해 정성껏 레테이파를 위한 젬베를 제작하게 되고, 죽은 바무의 가죽으로 젬베의 북피, 타다 남은 린케나무 조각으로 젬베의 몸통을 만듭니다.
이제 레테이파에게는 영혼의 소리를 내는 악기, 그만의 젬베가 생겼어요. 바무와 린케나무, 띠루 할아버지, 레테이파가 하나가 된 젬베는 앞으로 일어날 밝은 미래를 예시하는 듯합니다. 레테이파에게 구파라는 소중한 친구가 생긴 것처럼 젬베 또한 레테이파에게는 그의 삶의 안식처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야기의 마무리는 구파이가 레테이파와 띠루 할아버지를 본인의 집에 데리고 가는 행복한 소식을 전하고, 레테이파의 멋진 젬베 연주 소리에 맞춰 레테이파의 친구 잭과 구파이가 함께 춤을 추고, 젬베 소리를 듣고 찾아온 바무의 영혼과 노는 레테이파의 모습으로 끝을 맺습니다. 모두들 행복한 모습입니다. 오픈 엔딩이지만, 밝은 미래와 희망을 상상하게 하고, 리듬감 있는 타악기 젬베의 무한한 매력에 빠져 그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보듬어주고 싶은 마음이 한껏 들었던 소중한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