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한 컵이 우리 집에 오기까지 우리학교 어린이 교양
율리아 뒤르 지음, 윤혜정 옮김 / 우리학교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유 한 컵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주) 우리학교

글•그림 율리아 뒤르

옮김 윤혜정



본 책은 우리가 늘 접하고 만나며 심지어 좋아하고 매일 먹는 음식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제목처럼 우유 한 컵이 우리에게 오기까지의 과정을 두 가지 경우를 비교하여 알려주는 교양 그림책이다. 특히 그림체가 부드럽고 집중도를 높여주어 내용을 이해하기에 도움을 준다. 한 권의 도감으로 아이들에게 충분한 지식을 제공해 주는 도서이다. 무엇보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우리의 식탁에 거의 매일 오르는 이 식자재들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과정을 한눈에 알 수 있고, 특히 요즘처럼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귀한 음식을 더욱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를 아이들에게 소개하기 위해서이다. 우리가 손쉽게 만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우유, 빵, 생선, 고기, 사과, 달걀, 토마토의 소중함을 넘어서 저자가 직접 현장 답사를 통해 생생한 정보를 전달해 주어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그 메시지를 느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 도서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어린이 논픽션 그림책 추천 도서로 선정되어 수많은 언론의 호평을 받은 책으로 성인이 보기에도 흥미진진하다. 다각도의 시선으로 환경적인 측면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도서이다.

오늘 내가 마신 우유 한 컵, 빵 한 조각, 사과 한 조각의 흔적을 찾아 들어가 본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마주 보는 두 페이지에 음식 재료가 생산되는 장소와 방식을 두 가지로 비교해 담아낸 것이다. 잘 알지 못했던 정보이기도 하지만, 그 과정이 워낙 자세하고 섬세해서 한 페이지의 그림과 설명만으로도 이해가 충분하다. 저자의 주관적 견해가 들어가 있지 않은 구체적이고 담담한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장의 우유 vs 공장의 우유

빵집의 빵 vs 빵 공장의 빵

어선에 잡힌 생선 vs 양어장의 생선

농장의 고기 vs 도축장의 고기

농장의 사과 vs 과수원의 사과

농장의 달걀 vs 양계장의 달걀

채소 농장의 토마토 vs 온실의 토마토

음식 재료가 생산되는 장소를 먼저 비교한다. 도면처럼 한눈에 들여다보며 두 경우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저자는 이 두 경우의 차이를 분석하거나 어느 것이 더 낫다거나 등의 주관적인 내용을 담지 않았다. 사실 우리는 이 두 가지의 경우를 다 경험하며 각 재료들을 만나보고 있지만, 그 차이를 깊이 생각해 보지는 않았던 것 같다. 상황에 맞게 어느 것을 만나던 그 선택은 우리에게 있다.

이 재료들이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다음 페이지에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소개된다. 스토리텔링식으로 순서대로 따라 읽어 내려가면 이 재료들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의 수많은 과정을 단숨에 알 수 있다. 그림의 섬세함이 돋보이고, 그림의 색감 또한 은은하고 부드러운 선으로 표현되어 어려운 단어를 이해하는 데 막힘이 없다.

어떤 방식으로 재료들이 만들어지는지의 과정은 아무래도 생산규모의 차이가 있다 보니, 그 과정의 차이를 확연히 비교해 볼 수가 있다. 대규모 생산에서 오는 기계화된 과정들을 살펴보며, 이 재료들이 우리와 만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수고가 들어가는지도 알 수 있다. 특히 고기, 달걀 편에서는 직접 돼지와 닭의 사육 과정을 통해 숙연해짐을 느끼기까지 한다. 다양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도축 현장이 환경적 관점에서 지금의 모습이 최선인지 되돌아보는 시간이기도 했다. 참고로 책의 마지막 표지 끝부분에 저자는 말한다. 농장이 작든 크든, 유기농이든 아니든 중요하지 않다고 말이다. 객관적인 비교이지, 무엇이 더 좋고 나쁘다의 의미가 아니다란 뜻으로 이해된다.



2년여의 시간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체험 학습이 어려운 요즘, 우리 아이들에게 던진 질문 하나, "우유 한 컵이 우리 집에 오기까지" 저자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메시지를 알기에 충분한 책이다. 생생한 현장 학습을 간접적으로 체험한 기분까지 들게 하는 아름다운 그림책, 귀한 정보로 가득 채워져 있어 어느 것 하나 허투루 보지 않고 소중한 마음으로 보고 읽어 내려 간 본 도서는 동. 식물, 자연에 대한 감사함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한 편의 다큐 같은 흥미진진한 체험의 현장으로 놀러 오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