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세계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오래간만의 온다 리쿠다. 그녀의 책 중에서 아마도 가장 최신간? 인것 같은데 가면 갈 수록 온다 리쿠는 내게 실망감을 안겨주는 작가로 등극버렸다. 온다 리쿠 특유의 약간 환상적인 무대는 여전히 살아있다. 한번 본것은 잊지 않는 경이적인 기억력의 소유자, 고로는 평범한 회사원이었으나 어느날 상사의 환송회 자리 이후 증발되어 버린다. 다음으로 그가 발견된것은 어느 시골 마을의 외딴 언덕 위. 무언가에 찔린, 시체의 모습으로 였다. 당연히 이것은 미스터리다. 왜 그는 아무 연고도 없는 마을에 와서 혼자 살았는가? 그가 죽기 직전 이 마을의 역사며 탑에 대해 알아보고 있었던것은 왜 일까? 어째서 그는 살해당해야만 했는가? 마을 사람들은 낯선 이방인에게 호기심과 불안이 뒤섞인 시선을 보낸다. 그의 죽음에 대해 적극적인 의문을 품은 사람도 있고, 그냥 타인의 일이라며 흘려보낸 사람도 있으나 누구 하나 적극적으로 나서려는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이 마을은 뭔가 이상하다. 마을에는 세게의 탑이 우뚝 서 있는데 누구도 이 탑의 유래를 모른다. 게다가 어쩐지 3번째 탑은 낙뢰를 맞아 보기 흉하게 되었는데도 보수를 하지 않는다. 마을의 탑에 관한 미스터리와 고로의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 이것이 [어제의 세계]라는 작품의 주요 골자이다. 매일 똑같은 시각에 개를 데리고 산책하는 쌍둥이 할머니, 그들의 소꿉친구이자 전직 형사였던 할아버지, 마을의 존경받는 전직 교사, 매번 역 앞 게시판에 전단지를 붙이러 오는 고로를 맞이했던 역원, 모닥불의 신과 교감할수있는 고등학생 소년, 그리고 카페 여주인까지 마을의 이런저런 사람들의 시선이 번갈아가며 나온다. 때로는 고로가 살아있을적의 이야기, 그리고 때로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이야기의 정확한 주인공은 고로다. 고로의 뒤를 쫒는 두 사람의 남녀가 나오는데, 한 사람은 고로와 같은 부서에 근무하는 여사원의 언니라는 애매한 관계의 여성. 그리고 한 사람은 고로의 배다른 형제이자 꼭 닮은 얼굴의 소유자인 고로의 동생. 온다리쿠의 나쁜 점은 애매모호한 열린 결말을 너무 좋아한다는 점과, 가끔 등장인물들이 소실한다는 점이다. 이번에도 역시 결말은 환상소설을 보는듯 아리송하다. 이제 그녀의 소설은 미스터리라고 불러서는 안 되는 느낌이 들었다. 그도 그럴것이 탑의 정체에 대해서는 수긍할수 있지만 조금 비약적인데다 마지막의 그 고로의 독백은 무엇이냔 말이다. 마지막엔 세계와 동화된 고로라니, 사실 처음엔 그가 유체이탈이라도 체험하고 있는줄 알았다. 그리고 역자도 마지막에 말했지만 대체 고로의 동생은 어디로 가버렸나. 한껏 뭔가 있는듯 분위기를 고조시키다가 빵 터트리는 순간에 쾌감은 어디로 가고 그저 허무함만이 남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