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니 -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매혹적인 숫자 이야기
리여우화 지음, 김지혜 옮김, 강미경 감수 / 미디어숲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니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매혹적인 숫자 이야기


리여우화 지음. 야오화 그림. 김지혜 옮김. 강미경 감수



수학 마니아가 풀어놓은 흥미진진한 수학적 사고

수학의 재미를 모른 채 인생을 논할 순 없다!

"최근 출간된 수학 도서 중에서 가장 걸작이다"

-야오홍쪄, 하버드대 수학과 교수-



수학과 관련한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구미가 당기는 책이 아닐 수 없다.

학교 다닐때 수포자였다 할지라도,

일정한 나이가 먹고나면 다시한번 수학에 도전하고픈(?)

그런 생각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 사람들이 읽기에 좋은 책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을 읽는 순간 

수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숫자나 공식만 봐도 울렁증이 있는 이유는

아직 수학의 재미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나 역시도 그렇게 생각한다.

어려운 문제를 풀고나서의 그 쾌감(?)을 느껴본 적이 없어서,

또는 일상 생활 속에서 수학을 깨우쳐 본 경험이 없어서 

수학이 현실과 동떨어지게 생각되고,

재미를 느낄 수 없는 경우라고......





프롤로그.

영어에서 play가 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play는 축구를 할 때도, 악기를 연주할때도 쓰이는 단어이다보니

저자의 입장에서는 수학은 취미생활과 '놀다'가 정말

딱 어울리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어쩌면 어울리지 않는 단어이겠지만,

별다른 배경지식이 필요없고, 

외우지 않아도 되는 암기과목이 아닌 수학의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놀다 play"의 의미가 맞을지도....???


나름 수학을 좋아하고, 잘 했다고 자신하는 나조차도

수학=play라는 의견에는 100프로 동의할 수 없지만,

프롤로그에 제시된 그림들은 충분히 이 책이 재미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갖게 했다.

왜냐하면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을 재미있는 배경지식과 함께

나름 재미있게 풀이해줬을거라는 그런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어쨌든 우리가 알아야 하는 수학은 대학 이후의 과정이 아니라

초중고등 교과과정의 내용만 알아도 충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첫번째 이야기. 

수학에서 보석을 캐다 메르센 소수



첫번째 장부터 소개하는 이야기는 메르센 소수다.

메르센 소수?

메르센 소수는 대학과정 정수론에서 배웠던 부분인데....

분명 이 책의 저자는 중학생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했는데,

요즘은 중학생도 메르센 소수를 배우나 하는 생각이 순간 들었다.

"소수"가 무엇인지를 물어봐도

일부 학생들 중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영점 삐리리리~가 

소수라고 대답하는 학생들이 있을수도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체'를 설명하는 것도 아니고

메르센 소수라니....


하지만 아직 첫장이니까.....

흥미롭게 수학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했으니

조금만 더 읽어보자는 생각으로 책을 꾸준히 읽어보았다.





전체적인 총평.


실생활과 관련이 조금이라도 있는 부분은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 부분이.... 그나마 제일 괜찮았던 것 같다.

그리고 함께 곁들여진 삽화가 

다소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을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듯 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수포자가, 수학에 단순한 흥미만 있는 사람이,

읽기에는 무리가 있는 책이 아닌가 싶었다.

처음 책을 접할때 기대했던 내용의 난이도가......

내가 생각했던 난이도가 아니었다.




이 책의 저자는

책에서 언급한 많은 공식이 중학생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했다.

수학을 향한 열정과 사랑이 넘치는 수학 마니아이기에 중학생의 수학 수준을 모르는 것인지,

아니면 중국의 중학생들은 이렇게 어려운 내용을 학습하는건지 모르겠다.



수포자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일상생활과 관련한,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수학과 관련한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기대했던 나에게는

다소 아쉬운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